[경제포커스] ‘올다무’가 쏘아올리는 희망

이인열 기자 2025. 4. 24. 00: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재벌·80대 기업인·MZ의 혁신
K뷰티와 K패션 부흥 이끌어
세상에 사양 산업은 없다
단지 사양 기업만 있을 뿐이다

퀴즈1. 지난해 매출 4조7900억원, 순익 4702억원. 1년 새 각각 24%와 35% 고성장. 매출 3조원 돌파한 지 1년 만에 4조원 돌파한 이 기업은?

퀴즈 2. 1000~5000원짜리 제품 팔아 작년 매출 3조9689억원, 영업이익 3711억원.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5%, 42% 성장한 이 기업은?

퀴즈 3, 2018년 매출 1000억원 돌파에 이어 6년 만에 11배 커진 1조2427억원을 기록한 기업은?

불황을 입에 달고 사는 시대, 이런 기업도 있다. AI(인공지능) 기업도,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얘기도 아니다. CJ올리브영(올영), 다이소, 무신사 얘기다. 이들 기업 이름 앞 글자를 딴 ‘올다무’란 말까지 생겼다. 더 대단한 것은 이들 기업은 자체 성장뿐 아니라 수천 개의 K중소기업과 함께 K제조업 부흥을 이끈다는 것이다. 게다가 단군 이래 가장 우수하다는 우리 젊은이에게 세계 무대에서 뛸 발판까지 만들어 주고 있다.

먼저 무신사 얘기다. 이 회사 간판만 봤을 땐 일본 기업인 줄 알았다. 유니클로의 ‘동생’ 정도. 알고 보니 ‘무진장 신발 사진이 많은 곳’이란 뜻이었다. 창업자 조만호(42)가 고3 때 프리챌에 만든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출발했다. 지금은 패션이 주력인 무신사의 수익 구조는 크게 두 가지. 중소 브랜드를 입점시켜 매출을 올리는 것이고, 또 하나는 젊은 디자이너 등을 발굴해 ‘K패션의 TSMC’ 격인 팬코 등에 맡겨 시장을 장악하는 것이다. 팬코는 베트남, 미얀마 등 공장에 1만6000여 명의 직원을 거느린 의류 위탁 생산 업체로 한국 산업화의 노하우를 간직한 기업이다. 무신사에 입점한 브랜드만 8000여 개. 그중 매출 10억원 이상이 500여 개, 100억원 이상은 50여 개다. 매출 1000억원을 넘긴 피스피스스튜디오는 상장을 추진 중이다. 무신사 본사엔 기획 및 디자이너 인력만 50여 명이다. “1조원 넘는 업체를 만들어 볼 거야” 20년쯤 전 무신사 창업자가 주변에 했던 말이다. “꿈은 이뤄진다”는 말은 이럴 때 쓰라고 있는 말 같다.

CJ올리브영(올영)은 재벌인 CJ그룹 계열사로, 이젠 그룹 내에서 덩치로 넷째, 성장세는 단연 1위다. 미국식 드러그스토어를 표방했는데 10년 이상의 힘든 시간을 이겨내고, K뷰티의 영역을 발굴해 초고속 성장 중이다. 올영에도 성공 신화가 넘친다. 입점 업체 중 올영에서만 연 매출 100억원 돌파가 100개를 돌파했고, 그중 3개 브랜드는 ‘1000억 클럽’에 가입했다. 다이소 역시 1000~5000원짜리 물건만 찾아 영업이익률 9.35%로 이마트(0.16%)와 쿠팡(1.46%)을 압도한다. 요즘은 10대를 상대로 ‘가성비’ 화장품까지 뚫었다. 올다무의 꿈은 여기에 멈추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알테쉬’로 대표 되는 값싼 중국산의 공세, 높은 인건비 등으로 경쟁력을 잃어 K제조업은 종말을 고했다고 믿고 있다. 그런데 현장은 그렇지만은 않다. 그 주역은 젊은이다. 올영에 납품하러 가면 심사역들이 모두 20대라서 놀란다고 한다. 무신사 기획자 대다수가 2030들이다. 이들이 쇠락할 거라던 K패션과 K뷰티를 다시 키워낼 줄이야. 이들 기업의 탄생 배경은 재벌 계열사, 올해 여든을 넘긴 기업인, 고3 때 창업한 40대 창업자 등 제각각이다. 올다무에서 또 하나 배운 건 사양 산업은 없다는 것이다. 사양 기업만 있을 뿐이지.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5분 칼럼'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