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후 무역 둔화 현실화…미국행 화물선, 짐칸 못채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 정책으로 화물선 상당수가 물건을 다 싣지 못한 상태로 바다에 투입되고 있다고 AFP통신이 22일 보도했다.
통신이 인용한 컨설팅회사 롤랜드버거에 따르면 트럼프가 구체적 상호관세를 처음 공표한 이달 2일 이후 3주 동안 무역이 둔화했다.
대서양 횡단 및 미국행 환태평양 무역에서 만선인 경우는 50% 수준에 머물렀다고 롤랜드버거는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신기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 정책으로 화물선 상당수가 물건을 다 싣지 못한 상태로 바다에 투입되고 있다고 AFP통신이 22일 보도했다.
통신이 인용한 컨설팅회사 롤랜드버거에 따르면 트럼프가 구체적 상호관세를 처음 공표한 이달 2일 이후 3주 동안 무역이 둔화했다. 대서양 횡단 및 미국행 환태평양 무역에서 만선인 경우는 50% 수준에 머물렀다고 롤랜드버거는 전했다.
상호관세 이행이 90일 유예되면서 일단 많은 기업이 예방 차원에서 재고를 비축하며 운임은 오름세지만 장기적으로 하락할 수 있다.
또 10월 중순부터 미국이 중국 선박에 대한 항만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계획하면서 해운 업계의 상황은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운임이 떨어지고 항로도 변경될 수 있다.
해운 업체들은 트럼프가 첫째 대통령 임기 중이었던 2018~2019년처럼 무역 감소로 운임이 장기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AFP는 전했다.
롤랜드버거는 "인도 노선이 둔화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예상했다. 영국 화물운송업체 젠카고는 중국-미국 노선의 수익성이 떨어질 것이라며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남미와 같은 노선이 새로 주목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독일 해운회사 하파크 로이드는 무역 활동 측면에서 대서양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지만 중국은 감소하고 동남아에서 수요가 분명하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shinkir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오빠 등에 전처 토끼 문신, 매일 본다"…'돌싱 22기 경수♥' 옥순 씁쓸
- "비싸게 샀다더니"…장동건, 174억 오른 한남동 건물 '대반전'
- "축의금 회수해 보실 분?"…1년 후 이혼할 여성 찾는 대기업 사원
- 'SNL' 설난영 여사 "혜경궁 김 씨, 경을 칠 노릇…법카 사용 말라" 저격
- "월 400 쓰는 백수오빠 장가부터…" 돈 버는 30대 딸들 결혼 막아선 母
- "폭행하고 성병 옮겨"vs 피투성이 얼굴 사진…전호준·전여친 공방(종합)
- 젝스키스 김재덕, 행방불명에 연락 두절 '의문'…"전화도 안 받아"
- 정민희, 손흥민 협박녀 의혹에 발끈 "저 아닙니다, 그만하세요"
- 최다니엘, 유재석 라인 의혹…전현무 "배은망덕해서 내 라인"
- 이다해, 7000만원 전세기 타고 中 라방…30분에 200억 매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