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정찰위성 4호기, 발사체 분리성공…목표궤도 정상진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군의 군사정찰위성 4호기가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발사돼 목포궤도에 정상 진입했다.
22일 국방부는 "군 정찰위성 4호기가 10시 3분경(한국시각) 발사체와 성공적으로 분리되어 목표궤도에 정상 진입했다"며 "군은 이후 지상국과의 교신을 통해 위성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전 9시 48분(한국시간) 군사 정찰위성 4호기는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중 SAR 탑재한 5호기 쏘아올려 425사업 완성 계획
다수 위성 포진으로 북한 군사동향 세밀하게 감시 가능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한국군의 군사정찰위성 4호기가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발사돼 목포궤도에 정상 진입했다.
22일 국방부는 “군 정찰위성 4호기가 10시 3분경(한국시각) 발사체와 성공적으로 분리되어 목표궤도에 정상 진입했다”며 “군은 이후 지상국과의 교신을 통해 위성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전 9시 48분(한국시간) 군사 정찰위성 4호기는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됐다.
발사체는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사의 팰컨9을 사용했다. 앞서 발사한 1·2·3호기도 팰컨9을 이용했다.
군사정찰위성 4호기는 2·3호기와 동일한 합성개구레이더(SAR·Synthetic Aperture Radar)를 운용하는데 SAR은 지상에 전파를 쏜 뒤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 데이터를 합성해 영상을 만드는 방식이다. 주·야간이나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 장점이다. 전파 교란에 취약하고, 일반인이 아닌 전문가만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2·3호기는 지난해 4월과 12월 각각 발사됐다. 현재 시험평가를 받고 있다. 이보다 앞선 2023년 12월에 발사한 1호기는 지난해 8월 전력화해 전자광학(EO)·적외선(IR) 촬영장비를 운용하고 있다. 가시광선을 활용하는 EO는 주간에, 온도차에 따라 구분되는 적외선을 활용하는 IR은 야간에 영상을 촬영한다. 구름이 많이 낀 날 촬영이 제한된다. 1호기는 지난해 8월 시험평가를 완료했다. 현재 하루에 두 차례씩 한반도 상공을 지나며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군은 앞으로 1호기와 2·3·4·5호기가 송출한 영상을 비교해 분석 정확도를 높일 방침이다. 위성 여러 대가 동일한 임무를 수행하면, 관측하는 각도가 다양해지는 만큼, 획득하는 정보의 양도 많아진다. 또 다른 위성이 고장이 나는 비상시에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군과 방사청은 올해까지 SAR을 탑재한 5호기를 쏘아 올릴 계획이다. 총 5개 위성을 운용하는 사업을 SAR(사)와 EO(이오)의 음을 따 ‘425사업’이라고 부른다. 5호기까지 실전 업무에 돌입하면 북한 내 특정 표적을 2시간 단위로 감시·정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군은 무게 100㎏ 안팎의 초소형 위성체계 32기를 개발하는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초소형 위성까지 배치가 완료되면 북한을 30분 단위로 감시·정찰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김인경 (5tool@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준공 35년째 남양주 아파트 주차장 붕괴…주민 120명 대피
- "성 상납 누명쓰고"...이준석, '명태균 전 운전기사' 증언에 발끈
- "이달 월급 왜 이래?"…직장인 1030만명 '화들짝'
- "제가 지금 갑자기…" 보수 유튜버 고성국, 생방 중 혼절
- "또 쉬냐" vs "6일 황금연휴"…5월 2일 임시공휴일 될까
- 서효림, 김상혁과 불륜 루머에 황당 "이런 일이 있었어요?"
- 이명박 실패한 ‘코스피 5000'..이재명은 가능할까?
- '아내 탄 차' 바다에 추락...뒤바뀐 남편의 운명 [그해 오늘]
- 서주경 "'당돌한 여자', 15년 간 한 달에 억단위 돈 벌어"
- '달리다 핸들 뽑아'...폭주족 42명, SNS에 올린 영상 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