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왕복요금 최소 3100원…이르면 6월 150원 인상
● 지하철 왕복요금 3100원 시대
경기도의회는 15일 제383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철도 요금을 150원 인상하는 내용의 ‘도시철도 운임범위 조정에 대한 도의회 의견청취안’을 통과시켰다고 20일 밝혔다. 경기도 소비자정책위원회를 거치면 요금 인상을 위한 모든 행정 절차가 마무리된다. 경기도의회 관계자는 “경기도가 요금 인상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어 위원회 통과는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요금이 인상되면 교통카드 기준 성인 운임은 1550원, 청소년과 어린이는 각각 900원과 550원이 된다. 정확한 인상 날짜는 이달 말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코레일(한국철도공사)가 협의를 통해 결정한다. 인상 적용 시기는 6·3 조기 대선 이후인 6월 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서울시 관계자는 “인상된 요금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수도권 전체 역사 내 단말기의 인식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며 “이르면 6월, 늦어져도 7월 안에는 인상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행정 절차가 완료되는 대로 티머니가 시스템 개발에 들어갈 예정이다.
● 서울교통공사 누적 적자 18조 원 넘어
당초 요금 인상은 대선 국면에 따른 정치적 고려로 하반기로 미뤄질 가능성이 제기됐다. 하지만 수도권 철도의 심각한 재정난이 결정을 앞당기는 데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도내 6개 철도노선에서 연간 998억 원의 운영 적자가 발생했다. 같은기간 서울교통공사, 코레일 등이 운영하는 수도권 전철은 연간 1조 2513억 원의 적자를 냈다.
수도권 지역 지하철 기본요금은 2023년 10월, 8년 만에 1250원에서 1400원으로 올랐다. 당초 시내버스처럼 300원을 한꺼번에 인상할 계획이었지만, 정부의 공공요금 동결 기조를 감안해 150원씩 두 차례에 걸쳐 나누기로 했다.
그러나 2024년 두 번째 인상은 추진되지 못했다. 정부의 물가안정 방침에 따라 시기가 미뤄지면서 계획이 지연됐다.
이런 가운데 물가 상승, 인건비 증가, 승객 수요 변화, 코로나19 여파 등이 겹치면서 철도 적자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공사의 지난해 말 기준 당기순손실은 전년보다 40% 증가한 7241억 원, 누적 적자는 18조9000억 원에 달한다. 부채는 7조3474억 원으로, 하루 이자만 3억 원이다.
● “무임승차 보전 없이는 적자 해결 어려워”
시와 서울교통공사는 구조적인 재정난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무임승차에 따른 손실을 정부가 보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공사 등에 따르면 현재 서울 지하철의 요금현실화율(수송원가 대비 운임 비율)은 55%에 불과하다. 승객 1명을 태울 때마다 858원씩 손해를 보는 셈이다.
주원인으로 지적되는 것이 무임승차에 따른 손실이다. 교통공사는 지난달 열린 관련 토론회에서 “2023년 기준 무임승차 인원은 하루 평균 751만 명으로 전체의 약 17%를 차지하며, 이로 인한 손실액은 약 4000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어 “재원 대책 없이 무임 손실이 계속 증가하면 구조적 적자는 불가피하고, 결국 안전 투자가 위축되는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2023년 한 해 동안 서울교통공사가 무임승차로 입은 손실은 4134억6200만 원으로, 이 중 3511억6700만 원(85%)은 만 65세 이상 노인 무임승차로 발생했다.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무임승차로 인한 누적 손실은 최근 10년간 3조 원을 넘어섰다.
수원=이경진 기자 lkj@donga.com
이소정 기자 sojee@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尹 못했으니 정권교체” vs “이재명 안되게 국힘 누구든” 흥덕 민심 팽팽[마크맨]
- 이재명, 영남 경선서 득표율 90.81%…충청·영남 압도적 1위
- ‘윤 어게인’에 전광훈 출마 선언까지…“경선 힘 다 뺀다” 국민의힘 곤혹
- 국힘 후보 MBTI 모두 ‘E◯◯J’…이철우 ESFJ·나경원 ENFJ·홍준표 ESTJ·한동훈 ENTJ
- 美민주당 전 대통령 3인, 불문율 깨고 트럼프 공개 비판
- 기관총-연료탱크 낙하사고, “조종사 실수”… 공군 기강해이 논란
- 드론도 못 따라가…아이 운동회서 압도적 질주한 엄마 정체는? (영상)
- 내년 의대 정원 3058명 동결에도…의협, 궐기대회 열고 의료개혁 중단 촉구
- 내일 尹 내란혐의 2차 공판…피고인석 앉은 모습 녹화 공개
- 檢, ‘공천개입 의혹’ 김상민 전 검사 조사… 김 여사 대면조사도 시도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