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수출 막힌 중국산 재고 몰려오나…업계 '긴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중 관세 전쟁으로 중국의 대미 수출이 막히면 막대한 저가 재고 물량이 한국으로 방향을 틀어 들어올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관세 폭탄으로 그동안 미국 소비시장을 잠식해온 중국산 초저가 상품이 직격탄을 맞게 됐다.
중국과 한국의 대미 수출품 관세 격차를 악용한 원산지 허위 기재가 성행할 우려도 제기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휘경 기자]
미·중 관세 전쟁으로 중국의 대미 수출이 막히면 막대한 저가 재고 물량이 한국으로 방향을 틀어 들어올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2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9일 중국에 대해 104%의 상호관세 부과를 발효한 데 이어 최근에는 800달러(약 114만원) 미만 수입품에 관세를 면제해주는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했다.
이에 따라 다음 달 2일부터는 미국으로 향하는 소액 소포에도 120%의 높은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관세 폭탄으로 그동안 미국 소비시장을 잠식해온 중국산 초저가 상품이 직격탄을 맞게 됐다.
지난해 미국 세관이 처리한 중국산 면세 소포는 전체 14억개의 60%에 달한다.
초저가 상품을 무기로 미국 온라인 유통시장 점유율을 높여온 중국계 이커머스 업체 테무와 쉬인도 직격탄을 맞았다.
테무와 쉬인은 오는 25일부터 물건값을 올리겠다고 미국 소비자들에게 공지하고 광고비를 줄이는 등 서둘러 대응에 나섰으나 판매량 급감에 따른 영업 위축은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국내 유통업계도 미국행이 좌절된 막대한 중국산 상품이 어디로 향할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중국 제조·유통사가 미국을 대체할 시장을 찾아 나선다면 한국을 유력 후보지 중 하나로 검토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중국의 저가 물량 공세가 가속하면 소비 위축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중소 제조업은 물론 토종 이커머스 업체에도 큰 위협이 될 것이라고 업계는 보고 있다.
중국과 한국의 대미 수출품 관세 격차를 악용한 원산지 허위 기재가 성행할 우려도 제기된다.
중국산 상품이 한국을 경유하면서 '메이드 인 코리아'(Made in Korea)로 이른바 '택갈이'(태그 바꿔 달기)를 해 미국으로 수출되면 국내 중소제조업이 추가로 피해를 볼 수 있다.
관세청도 이런 점을 우려해 한국으로 들어오는 중국산 상품의 원산지 단속을 강화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연합뉴스)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