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제품 없인 못 살아? 미국시장 격변…기회 열린다

2025. 4. 18. 19:4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미중 관세전쟁이 시작된 가운데, 저가의 중국산 제품에 중독된 미국 소비자들의 일상에 지각변동이 시작했습니다. 100%가 넘는 고율의 관세가 중국산 제품에 본격 반영되기 시작하면, 한국 기업들에게 기회가 찾아온다고 하는데, 강영구 특파원이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 기자 】 매장의 선반을 가득 채운 저가형 장난감과 생활용품, 그리고 의류,

심지어 전자제품까지 하나같이 '메이드 인 차이나' 라벨이 붙어 있습니다.

특히 유모차와 우산 등 생활밀착형 제품들은 90% 이상이 중국산일 만큼 미국 소비자들에게는 끊기 힘든 수준입니다.

▶ 인터뷰: 제니 / 애틀랜타 거주 -"중국산 제품 없이는 생활이 안 될 것 같습니다."

▶ 인터뷰: 사라 / 애틀랜타 거주 -"사용하는 제품 대부분이 중국산입니다. 끊는 것은 불가능하죠."

하지만, 145%에 달하는 관세가 변수가 됐습니다.

▶ 인터뷰: 케시 / 일리노이 거주 -"중국산 제품이 충분히 싸지 않다면, 아마 많이 구매하지 않을 것입니다."

중국제품과 미국시장에서 경쟁하는 우리 기업에는 기회가 열렸습니다.

미국 연구기관에 따르면, 트럼프 1기 때 20% 관세만으로도 한국 제품의 미국 수출 점유율은 1%p 이상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 인터뷰 : 김태열 / 헬스 기기 대표 - "우리와 중국 간에 관세 차이가 확실히 되면, 저희도 미국이나 다른 시장에서도 경쟁력이 도움을 받지 않을까…."

미국 바이어들의 늘어난 수요는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에서도 확인됐습니다.

▶ 인터뷰 : 아서 / 미국 바이어 - "제품의 품질과 상호 이익이 되는 신뢰성이 한국을 미국의 최적 파트너로 만들어주는 요소라고 봅니다."

▶ 스탠딩 : 강영구 / 특파원 (애틀랜타) - "관세장벽이 높아질수록 중국 의존에서 벗어나려는 미국 시장은 우리 기업에게 도전이자 기회입니다. 애틀랜타에서 MBN뉴스 강영구입니다."

영상촬영 : 윤양희 / 워싱턴 영상편집 : 유수진 그 래 픽 : 송지수

#트럼프 #관세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