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오는 中선박, 입항 수수료 내”…美中 관세전쟁, 난타전 유도하는 트럼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정부가 중국 해운사와 중국산 선박에 대해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17일(현지시간) 중국 해운사와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 등에 10월 14일부터 단계적으로 입항 수수료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주요 해운사들이 저가의 중국산 선박을 많이 이용했으나 앞으로는 미국 입항 수수료 부담 때문에 한국에 선박을 주문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中은 미국산 LNG 수입 중단
트럼프 “中과 대화하고 있다…3~4주 내 협상 타결 기대”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17일(현지시간) 중국 해운사와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 등에 10월 14일부터 단계적으로 입항 수수료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중국 기업이 운영하거나 소유한 선박에 톤(t)당 50달러의 입항 수수료를 징수하고, 이를 매년 인상해 2028년에는 톤당 140달러가 되게 하겠다는 것이 USTR의 계획이다.
중국이 아닌 나라의 기업이 운영하는 선박이라 해도 중국에서 건조했다면 톤당 18달러를 내야 한다. 이 수수료는 2028년 톤당 33달러까지 매년 상승한다.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의 경우 CEU(1 CEU는 차 한 대를 운반할 수 있는 공간)당 150달러를 내도록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우리는 중국과 대화 중이다. 그들이 수차례 연락해왔다”면서, 중국과의 관세협상 타결에 대해 “앞으로 3~4주 정도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사실상 ‘협상 시한’을 제시하면서 중국에 대한 압박수위를 높인 것이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이후에도 중국과 대화를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물론”이라고 답했다.
다만 시진핑 국가주석과 직접 대화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나는 그것이 있었는지를 말한 적이 없다. 부적절하다”면서 “그것은 중요하지 않다. 우리는 중국과 협상을 타결할 것”이고 강조했다.
한편 USTR의 조치가 시행될 경우 한국 조선업과 해운업은 수혜가 예상된다. 주요 해운사들이 저가의 중국산 선박을 많이 이용했으나 앞으로는 미국 입항 수수료 부담 때문에 한국에 선박을 주문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또 국내 해운사들은 한국산 선박 보유 비중이 높아 미국 입항시 유리하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전 재산 축의금으로 주고 5천만원 빌려줬는데…여동생 결혼식에 ‘5만원 상품권’ 낸 친오빠 -
- “75만원 주고 먹었는데 경악, 재료는 ‘똥’ 이었다”…이색 요리에 논란된 이 식당 - 매일경제
- 신입 초봉 7000만원 ‘신의 직장’ 은행원도 못 피해가는 ‘이것’…뭐길래 - 매일경제
- “엄마, 나 어떻게 해”...의대 준비하던 학생들, 발등에 불 떨어졌네 - 매일경제
- “탈원전해선 AI전력 수요 감당 못해”…목소리 내는 이재명의 싱크탱크 [V메이커스] - 매일경제
- “눈치 빠른 사람들 벌써 움직였다”...심상치 않은 가계대출, 무슨 일이 - 매일경제
- “이재명이 소유한 아파트가 있다”...벌써부터 들썩이는 분당 집값 - 매일경제
- “실업급여 20회 걸쳐 1억 받기도”…취업·퇴사 반복수급자 무려 49만명 - 매일경제
- [2025 서울머니쇼] 대선까진 집값 안갯속 누가 집권해도 공급 부족 "수도권 핵심지 노려라" - 매일
- ‘바람의 손자’ 이정후, 2루타 부문 단독 선두로 우뚝 서다 [MK현장]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