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병풍·당의 복제···K왕실유산 전통을 잇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가유산청은 라이엇게임즈와 LG생활건강의 재정과 기술 후원으로 지난 2년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 가운데 조선 왕실의 책가도 병풍과 종묘친제규제도설 병풍, 보소장인존, 당의 등 총 4건을 복제하는 사업을 마무리하고 17일 고궁박물관 대강당에서 공개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문화유산 복제 사업은 전통 공예 기술과 첨단 디지털 기술을 결합해 K왕실유산을 현대적으로 재창조하는 대표적 사례"라며 "복제본 제작은 단순한 재현을 넘어 원 유물의 보호와 활용을 지향하는 지속가능한 전승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라이엇게임즈·LG생활건강 후원으로
역사성·활용도 높은 유물 4건 복제해
“20세기 초 영친왕비가 입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당의’인 데 복제할 때 가장 어려운 것은 맞는 색을 찾는 것이었어요. 특히 고름이 어려웠다고 합니다. 울적한 마음에 고궁(경복궁)을 걷다가 어떤 꽃잎을 발견하고 ‘이거다’라고 했답니다. 그 꽃잎을 가져와 색깔을 만들어낸 것이 바로 이것입니다.”(이현주 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연구관)
국가유산청은 라이엇게임즈와 LG생활건강의 재정과 기술 후원으로 지난 2년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 가운데 조선 왕실의 책가도 병풍과 종묘친제규제도설 병풍, 보소장인존, 당의 등 총 4건을 복제하는 사업을 마무리하고 17일 고궁박물관 대강당에서 공개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문화유산 복제 사업은 전통 공예 기술과 첨단 디지털 기술을 결합해 K왕실유산을 현대적으로 재창조하는 대표적 사례”라며 “복제본 제작은 단순한 재현을 넘어 원 유물의 보호와 활용을 지향하는 지속가능한 전승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복제 대상은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한 유산들 중 역사성과 활용도가 높은 서화류와 복식류 총 4건이다. 책가도 병풍은 서가를 중심으로 쌓여있는 서책으로 구성된 병풍으로 조선 왕실 학문과 배움을 상징한다. 종묘친제규제도설 병풍은 종묘의 주요 건물과 의식 절차, 제례를 위한 상차림 등을 설명하는 그림과 글로 이뤄져 있다. 보소당인존은 조선 제24대 헌종의 당호인 보소당에 보관된 인장을 모은 책으로 조선 왕실 문예 취미를 보여준다. 당의는 국가민속문화유산 ‘영친왕 일가 복식 및 장신구류’의 하나로 영친왕비가 착용한 동절기용 소례복이다.
국립고궁박물관이 지난 2년여 동안 이번 문화유산 복제 작업을 총괄했다. 문화유산기술연구소, 전통침선연구소 연우 등 전문기관과 국가무형유산 금박장 김기호 보유자, 각자장 김각한 보유자 등 관련 전문가들이 이 작업에 참여했다. 라이엇게임즈는 두 병풍과 책을, LG생활건강은 당의 복제를 각각 후원했다.
이홍주 LG생활건강 더후 총괄MD는 “궁중문화 후원사업을 한지 11년이 됐다. 특히 이번 사업을 통해 조선시대 여성들의 생활양식을 더 이해할 수 있게 됐다. 앞으로 더 사명감을 가지고 후원하겠다”고 말했다.
최수문 선임기자 chsm@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와 한국 진짜 망했네요'…외신도 경악한 '7세 고시' 결국
- '러브샷 5단계에 음담패설까지'…막 나간 조선대 신입생 MT '일파만파'
- '尹 부부, 관저에서 뭘 했길래'…일주일간 수돗물 '228톤' 썼다
- 카이스트표 '마법샴푸' 불티나더니…이번엔 '칙칙' 뿌리면 단숨에 풍성해진다?
- '박나래, 그렇게 방송하면 안됐다'…프로파일러의 '일침'
- '부모·자녀 동시 살해는 이례적인 일'…50대 가장의 '참혹한 선택', 왜?
- '역사는 안 보이고 '의자'만 보인다 싶더니'…'벌거벗은 세계사' 중징계 받았다
- 日 걸그룹 파이비, 故 구하라 사진에 '관짝' 합성…서경덕 교수 '용서 불가'
- '양말 벗고 '킁킁'' 냄새 맡는 습관이 부른 감염…中 남성 '이 병' 걸렸다
- '이제는 정말 끊어야 하나'…라면·맥주 이어 담배도 가격 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