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우크라 본토 파병 계획" 주장 나와…개입 확대되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러시아 쿠르스크주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는데 일조했던 북한 파병군이 우크라이나 본토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방위원회 산하 허위정보대응센터의 안드리 코발렌코 센터장은 16일(현지시간) 텔레그램에 올린 글에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영토에서의 전쟁에 북한군을 사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토 내에 북한군을 보내고선 "러시아 헌법상 이곳은 러시아 땅"이라고 주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러시아 쿠르스크주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는데 일조했던 북한 파병군이 우크라이나 본토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방위원회 산하 허위정보대응센터의 안드리 코발렌코 센터장은 16일(현지시간) 텔레그램에 올린 글에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영토에서의 전쟁에 북한군을 사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토 내에 북한군을 보내고선 "러시아 헌법상 이곳은 러시아 땅"이라고 주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러시아는 전쟁 첫해인 2022년 9월 도네츠크·루한스크·자포리자·헤르손 등 우크라이나내 4개 점령지에서 러시아 귀속 찬반 주민투표를 강행해 이들 지역을 러시아에 합병시킨 바 있다. 우크라이나군이 반격에 나서면서 이 지역들에선 현재 치열한 교전이 이어지고 있는데 이 지역에 북한군이 투입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로 보인다.
북한은 작년 6월 러시아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한 데 이어 같은 해 10월 1만명이 넘는 정예 병력을 러시아로 파병했다. 다만 현재까지는 러시아 쿠르스크주 일대에서만 작전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상호방위조약을 맺은 우방을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지킨 것일 뿐이라는 최소한의 명분을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들어 북한 파병군의 역할이 모호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작년 8월 기습적으로 국경을 넘어 쿠르스크로 진입한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는 작전이 마무리 수순에 들어가면서다. 이에 우크라이나에선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본토 투입설이 제기돼 왔다.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북한이 우크라이나 본토에 자국군을 진입시킬 경우 이는 핵 프로그램에 대한 러시아의 지원을 끌어내려는 목적일 수 있다 풀이했다.
한편, 코발렌코 센터장은 이날 텔레그램에 올린 글에서 "러시아는 북한 노동자도 적극적으로 수입하고 있다. 대부분 18∼25세의 젊은 남녀이고 1인당 1000달러(약 142만원)씩을 받는다"고 적었다.
이민형 한경닷컴 기자 meaning@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효진·류승범 쓰더니 '무서울 정도'…3500억 대박 낸 회사
- 中로봇청소기 불티난 이유 있었네…가전매장 갔다가 '화들짝'
- '손절한 게 후회되네'…4배 올랐는데 '더 간다' 폭풍질주 [종목+]
- '샤넬백' 요즘 1500만원인데…'관세 폭탄' 맞으면 얼마? [안혜원의 명품의세계]
- 황금연휴만 기다리는 빵덕후들…"벌써 대전에 방 잡아놨어요"
- "전용 78㎡이 3억6000만원"…8년 전 가격에 '전국민 줍줍' 나왔다
- 304명 목숨 앗아간 세월호 참사 원인, 11년만에 밝혀졌다
- "다 바꾸겠습니다"…백종원 더본코리아, 끝없는 논란에 결국
- 트럼프가 무너뜨린 '미국의 30년 유산'…결국 백기 들었다 [김인엽의 매크로 디코드]
- 매일 '맥주 한 캔' 즐겨 마셨는데…"나도 걸리면 어쩌나" [건강!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