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6% 폭등한 정치테마주, 이것 때문에 급등세 꺾였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거래소가 투자자 보호와 불공정거래 예방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시장경보 제도가 올해도 실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경보 지정 이후 대부분의 과열 종목은 주가 상승세가 진정되거나 하락세로 돌아서는 등 과열 완화 효과가 뚜렷했다.
투자주의는 소수 계좌에 매매가 집중되거나 주가가 급변하는 등 불공정거래 개연성이 있는 종목에 대해 1일간 지정하는 시장경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치테마 기승에 조회공시도 25% 늘어…조회공시 후 급등 진정
한국거래소가 투자자 보호와 불공정거래 예방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시장경보 제도가 올해도 실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경보 지정 이후 대부분의 과열 종목은 주가 상승세가 진정되거나 하락세로 돌아서는 등 과열 완화 효과가 뚜렷했다.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가 발표한 '2024년 시장경보 및 시황급변 조회공시 운영효과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시장경보는 총 2756건으로 2023년 보다 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경보는 불공정거래 및 이상급등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투자위험을 사전에 알리기 위한 제도다. 투자주의, 투자경고, 투자위험 3단계로 조치한다. 투자경고 지정 중 주가가 급등하거나 투자위험에 최초 지정되면 매매를 정지시키기도 한다.
단계별로는 지난해 투자주의 지정이 2473건으로 5% 증가했다. 투자주의는 소수 계좌에 매매가 집중되거나 주가가 급변하는 등 불공정거래 개연성이 있는 종목에 대해 1일간 지정하는 시장경보다. 지난해 경영권 분쟁 및 자사주 취득이 늘어나면서 소수계좌 거래집중이 늘어나면서 투자주의 지정 건수가 늘었다.
투자경고 지정은 241건으로 8% 늘었다. 투자경고는 주가가 일정 기간 급등하거나 불공정거래 개연성이 있는 매매양태가 확인되면 10일간 지정한다. 지난해에는 단기(5일) 급등 지정유형이 137건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투자위험 지정은 10건으로 44% 감소했다. 투자위험 지정은 대부분 투자경고 지정 종목의 종가가 3일 전날 종가보다 45% 상승할 때 지정하는 초단기 급등 지정유형이다. 지난해에는 초단기 급등 지정유형이 8건으로 줄어들었다. 매매거래정지도 32건으로 24% 줄었다. 투자경고 지정 중 2일간 주가 상승률이 40% 이상일 때 거래 정지되는 투자경고 지정 중 주가 급등 사례가 22건이었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시장경보 지정 이후 주가 상승폭이 현저히 완화 또는 하락 반전하며 전반적인 안정세를 보였다"라고 설명했다.
시장감시위원회에 따르면 시장경보 지정 전후의 주가 변동률을 비교하면 투자주의는 5.1% 상승에서 0.8% 하락으로, 투자경고는 11.2% 상승에서 2.3% 하락으로 바뀌었다. 정치인 테마주 중 495.6% 폭등해 투자위험으로 지정된 종목은 지정 직후 4.8% 상승에 그쳤고, 코로나 테마주도 180.8%에서 41.1% 하락하기도 했다.
한편 특정 종목의 주가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거래소가 기업에 공시를 요청하는 시황급변에 따른 조회공시는 지난해 총 116건이었다. 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정치인, 코로나 등 테마주 과열 양상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의뢰한 결과 시황급변 조회공시가 지난 2023년 대비 23건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조회공시 의뢰에 대한 상장사의 답변은 대부분 '중요공시 없음'으로 87건(75%)에 달했다. 즉 상장사가 주가 급등락 사유를 설명할 수 없음에도 주가가 급변한 경우가 다수 발생했다는 것이다. 주로 정치 테마주에 묶여 변동한 것으로 파악된다.
조회공시 이후 주가 변동률이 완화되는 양상도 드러났다. 조회공시 의뢰 전날과 다음날 평균 주가 변동률은 12.9% 상승에서 1% 하락으로 바뀌었다. 특히 정치테마주는 117.5% 급등에서 5.9% 하락으로 돌아섰다. 급등세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연말 비상계엄 등 정치적 불안정성으로 정치테마주 변동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투자주의 환기 및 추격 뇌동매매를 최소화했다"며 "향후에도 시장경보 지정 및 시황급변 조회공시 제도의 효율적 운영과 실효성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성준 (csj@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솥밥 어떨까요"…MZ직원 아이디어, 현실이 됐다
- 비싼 장바구니 물가에 농협 하나로마트 할인전 돌입
- 바이낸스서 상폐된 김치코인 국내선 360% 폭등
- '멈춰 선' 중고나라…'지켜보는' 롯데
- '관리종목 지정·상장폐지 위험'…단순 경고가 아니었다
- 인공지능이 바꾼 쇼핑몰 풍경(feat.일당백)
- 기술이전 빅딜 장식 '올리고'…에스티팜 성장엔진 달았다
- HBM따라 뜬 'TC본더'…한미반도체 '노하우' vs 한화세미텍 '쩐' 격돌
- [단독]하이트진로, '0.7% 맥주' 내놨다…'틈새의 틈새' 공략
- [공모주달력]이익내는 기술특례 '쎄크' 청약…'서울보증보험' 락업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