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리스크'에도 K-뷰티 기대는 여전…화장품株 강세[핫종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리스크에도 화장품주가 일제히 오르고 있다.
이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K-뷰티는 타 국가 브랜드들 대비 독보적인 브랜드파워를 갖추고 있어 상호관세의 일부가 소비자 가격에 전가되더라도 소비량이 크게 둔화되진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무역 전쟁으로 소비여력 악화 시 합리적 가격의 K-뷰티 수요가 더욱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강수련 기자 = 미국의 상호관세 리스크에도 화장품주가 일제히 오르고 있다.
17일 오전 10시25분 기준 잉글우드랩(950140)은 전일 대비 1790원(18.65%) 오른 1만 139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외에 선진뷰티사이언스(086710)(6.68%), 코스메카코리아(241710)(5.27%), 씨앤씨인터내셔널(352480)(3.83%), 에이피알(278470)(3.14%), 아모레퍼시픽(090430)(3.05%) 등이 모두 강세다.
전통적인 화장품주 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제 원료·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들의 주가가 최근 올랐다. 미국인들이 관세 부과가 본격화되기 전에 한국산 선크림을 사재기했다는 소식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화장품 수출액은 101억 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3% 증가하며 처음으로 100억 달러를 돌파하기도 했다.
이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K-뷰티는 타 국가 브랜드들 대비 독보적인 브랜드파워를 갖추고 있어 상호관세의 일부가 소비자 가격에 전가되더라도 소비량이 크게 둔화되진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무역 전쟁으로 소비여력 악화 시 합리적 가격의 K-뷰티 수요가 더욱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training@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15세 소녀 성폭행한 체육 교사…동료 수감자에게 살해돼 美 발칵
- 자전거에 묶인 신부 들러리, 낯선 남성에게 키스 강요, 영상 '공분'
- "허리 통증에 좋대"…산 개구리 8마리 삼킨 여성' 기생충 감염 결국 입원
- 식당에서 흡연, 침 뱉고 화장실까지 부순 관광객들…말리자 "알겠다"[영상]
- 복권 당첨되자 "회사 그만둡니다"…석 달 만에 목숨 잃을 위기 "후회" 왜?
- 선우용여가 직접 전한 '건강 이상' 박미선 근황…"최근 만나고 와"
- '윤유선 남편' 이성호 변호사, '이혼숙려캠프' 등장…"27년간 판사"
- 김종국, 파리로 신혼여행 갔다…첫날에도 헬스장 行 "아내 잘 때 나와"
- 제주 용머리해안서 아이 대변 뉘고, 그대로 떠난 외국인 관광객 '황당'
- 지갑 찾아줬더니…롤케이크와 삐뚤빼뚤 손 편지 건넨 어르신 '감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