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기술로 ‘인공태양’ 핵융합 안정성 높였다

홍아름 기자 2025. 4. 17. 1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게임에서 총알이 적을 맞췄는지를 판별하는 기술을 활용해 핵융합로 내벽으로 돌진하는 고속 입자의 충돌을 탐지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윤의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원자력공학과 교수 연구진은 가상 핵융합 장치 내에서 고속 입자가 충돌하는 지점을 빠르게 판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UNIST, 핵융합 시뮬레이션 속도 15배 향상
대전 유성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특수실험동 내 인공태양 'KSTAR'./뉴스1

국내 연구진이 게임에서 총알이 적을 맞췄는지를 판별하는 기술을 활용해 핵융합로 내벽으로 돌진하는 고속 입자의 충돌을 탐지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복잡한 3차원 구조에서도 충돌을 빠르게 예측할 수 있어, 핵융합로의 안정성과 설계 효율을 높일 전망이다.

윤의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원자력공학과 교수 연구진은 가상 핵융합 장치 내에서 고속 입자가 충돌하는 지점을 빠르게 판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전산물리학통신(Computer Physics Communications) 4월호에 공개됐다.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핵융합 발전은 융합로 내부를 태양처럼 뜨겁게 달구기 위해서 고속 중성 입자를 주입한다. 이 과정에서 일부 입자가 통제를 벗어나 장치 내벽과 충돌하게 되면, 융합로 벽이 손상되거나 핵융합 반응이 중단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같은 충돌 입자 탐지 문제에 게임 산업에 쓰이는 충돌 감지 알고리즘을 접목했다. 기존 방식은 미리 공간을 정해진 방식으로 잘게 나눠놓고, 그 안에 입자가 있는지를 일일이 확인했지만, 이번 알고리즘은 단순한 사칙연산으로 약 99.9% 이상을 계산 대상에서 제외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계산한다.

‘V-KSTAR’에 이 알고리즘을 적용하자 충돌 탐지 속도가 기존보다 최대 15배 빨라졌다. V-KSTAR는 한국형 핵융합 실험로인 KSTAR를 3차원 가상 공간에 그대로 구현한 디지털 트윈이다.

윤의성 교수는 “충돌 알고리즘은 중성입자빔 추적뿐만 아니라 V-KSTAR 전체의 3차원 확장을 위한 핵심 요소 기술 중 하나”라며 “고속 연산을 위해 CPU 컴퓨터보다 처리 속도가 빠른 GPU 수퍼컴퓨터를 활용하는 추가 연구를 계획 중”이라고 덧붙였다.

참고 자료

Computer Physics Communications(2025), DOI: https://doi.org/10.1016/j.cpc.2024.109490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