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파면 후 관저서 7일간 수돗물 228톤 사용…2인 가구 평균의 75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로부터 파면을 선고받은 지난 4일 이후 7일 동안 관저에 머물며 228t이 넘는 물을 사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윤 전 대통령이 파면 후 관저에서 사용한 수도 등 공공요금은 세금으로 납부될 것으로 보인다.
김영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6일 서울특별시 서울아리수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 부부는 지난 4~10일 일주일 동안 관저에 머물며 228.36t의 수돗물을 사용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로부터 파면을 선고받은 지난 4일 이후 7일 동안 관저에 머물며 228t이 넘는 물을 사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2인 가구 사용량의 70배가 넘는 양이다.
윤 전 대통령이 파면 후 관저에서 사용한 수도 등 공공요금은 세금으로 납부될 것으로 보인다. 파면된 즉시 민간인이 됐음에도 대통령 관저를 점유하며 공공요금을 과도하게 사용한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김영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6일 서울특별시 서울아리수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 부부는 지난 4~10일 일주일 동안 관저에 머물며 228.36t의 수돗물을 사용했다. 매일 적게는 28t 많게는 39t의 물을 썼다. 이 기간 윤 전 대통령 관저의 수도요금은 총 74만6240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이는 일반적인 2인 가구 사용량의 75배에 달하는 양이다. 서울시가 지난해 발간한 ‘서울워터 2023’에 따르면 2인 가구의 하루 물 사용량은 436㎏, 일주일 기준으로 계산하면 3.05t이다.
김 의원실은 한국전력에 윤 전 대통령의 전기 사용량과 금액도 질의했으나 한전 측은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출이 어렵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은 파면된 즉시 민간인이 됐음에도 불구하고 국가 시설인 대통령 관저를 무단으로 점유했고 공공요금을 부담 없이 사용했다”며 “이는 공적 권한과 시설을 사유화한 전형적인 사례로 철저한 조사와 책임 추궁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윤 전 대통령 부부가 2022년 서울 한남동으로 대통령 관저를 이전하며 국가 예산으로 수백만원짜리 캣타워와 자잿값만 수천만원에 이르는 편백욕조를 설치하고, 관저에서 퇴거하며 사적으로 가져갔다는 의혹도 제기돼 논란이 인 바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1일 관저에서 퇴거했다.
임정환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 파면 후 관저서 7일간 수돗물 228톤 사용…2인 가구 평균의 75배
- [속보]범보수 대선 후보 한덕수 29.6% 1위…김문수 21.5%
- ‘술을 입에서 입으로’ 러브샷 5단계에 성희롱까지…신입생 MT 논란 조선대
- 1년에 포르쉐 170대 판 30대女영업사원 ‘성추문 논란’…中 발칵
- “지귀연, 윤석열 바라기..본인 얼굴 찍히기 싫어 촬영불허” 서왕진 의원 주장
- [속보]경찰, 경호처와 10시간 대치 끝 대통령실 압수수색 철수
- ‘성욕 채우려고…’ 우체국 여직원에 썼던 콘돔 봉투 보낸 40대
- [속보]헌재, ‘한덕수 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가처분 인용
- 尹멘토 신평 “윤 어게인…적임자는 나경원”
- 진중권 “민주당, 한덕수 부인 문제 노려…정치근육 없는 한 대행 무너질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