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전쟁이 불러온 '경제 대통령론'...한덕수 급부상, 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대망론 바람이 심상찮다. 일부 여론조사에선 수개월 간 범보수 1위를 지켜온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자리를 단숨에 위협하는 저력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거센 관세 공격에 글로벌 경제위기 우려가 커지면서 노련한 경제관료 출신이 난세의 지도자로 부상하는 현상으로 해석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이기기 위해 범보수 진영이 반명(反이재명) 빅텐트를 꾸려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도 한 권한대행에 대한 기대감을 끌어올리는 요소다.
16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론조사공정(주)이 펜앤마이크의 의뢰로 13~14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범여권 대선후보 적합도 조사를 진행한 결과 한 권대행은 13.5%의 지지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13.1%)을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4일 전에 진행한 직전 조사(4월9~10일 조사)와 비교했을 때 한 권한대행은 4.7%포인트(p)가 오른 반면 김 전 장관은 6.3%p 하락했다.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5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이 전 대표와 김 전 장관이 대결할 경우 각각 54.3%, 25.3%를 기록, 지지율 격차는 29%p였다. 이 전 대표와 한 권한대행 간 대결에서는 각각 54.2%, 27.6%로 26.6%p의 격차를 보였다. 범보수 후보 중 이 전 대표를 상대로 가장 적은 격차를 보인 것이다.(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한 권한대행의 갑작스러운 부상은 트럼프 행정부발 관세전쟁과 무관치 않다. 한 권한대행은 하버드대에서 경제학 석·박사 학위를 받은 경제통이며, 김대중 정부와 이명박 정부에서 각각 통상교섭본부장과 주미대사를 지낸 외교통상 전문가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세계 경제와 외교의 불확실성이 가중된 상황에서 국정을 안정시키고 위기를 돌파할 적임자라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지난 8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통화는 경제·외교통으로서 한 권한대행의 존재감을 더욱 부각시켰다.
장성민 전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은 이날 SNS(소셜미디어)에 "이번 대선의 핵심 변수는 'It's the economy, stupid(바보야, 문제는 경제야)로 집약될 것"이라며 "지금 우리 국민의 절대다수는 한물간 탄핵 이슈보다 국가 경제의 앞날을 걱정하고 있다. 누가 우리 경제를 성장시켜 내 생계를 해결하고 내 삶의 질을 높여주며 내 생활의 안정을 유지시켜줄 수 있는 호모 이코노미쿠스 후보인가(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누가 트럼프발 세계 관세전쟁의 확전 속에서 우리 경제를 안전하게 성장·견인시키고 경제적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는 준비된 글로벌 통상 경제전문가인가"라며 "대통령 선거는 과거지향의 회고적 투표가 아니라 미래지향의 전망적 투표다. 여든 야든 그 이념의 경계를 뛰어넘어 이번 대선은 경제가 지배할 것"이라고 했다.

1992년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후보는 '바보야, 문제는 경제야'라는 슬로건으로 조지 부시 당시 대통령을 누르고 승리했다. 보수 진영에서 한 권한대행 띄우기에 나선 것에는 민주당 등 야권의 '내란 프레임'을 '경제'로 치환하려는 의도도 깔려있다.
그러나 한 권한대행 띄우기를 놓고 당 안팎에서 비판도 나온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 힘이 빠진단 이유가 대표적이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서도 '범보수 빅텐트' 동의 여부가 쟁점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대권주자인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한 권한대행이 무소속으로 대선에 출마할 경우 단일화에 나설 것이라고 이미 밝혔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중도층이 제일 바라는 건 안정감인데 한 권한대행은 관료 출신이라 안정감을 준다"며 "호남 출신이란 점도 강점이다. 보수 후보가 호남에서 11% 정도의 지지율을 얻으면 대선에서 이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행정 경험이 풍부하단 것도 강점"이라고 했다.
이어 "단점은 친윤(친윤석열)계가 밀고 있단 것인데 윤 전 대통령 그늘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하고 윤 전 대통령의 탄핵에 대한 찬반 입장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박소연 기자 soyunp@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박수홍 아내 김다예 충격의 건강상태…의사 "70대 할머니 수준" - 머니투데이
- "반바지도 못 입어" 이지훈, 10년째 앓는 '이 병' 뭐길래 - 머니투데이
- 김동성 똥오줌 청소 사진 올리더니…♥김민정 "돈 없다 징징대지마" - 머니투데이
- '홈쇼핑 대박' 심진화, ♥김원효에 포르쉐 선물…"지금은 팔았다" 왜? - 머니투데이
- 89세 이순재 건강상태, 시상식도 못갈 정도…"거동 불편" - 머니투데이
- 승리 범죄조직 연루설…지드래곤 입 열었다 "사생활은 별개의 일" - 머니투데이
- 성시경도 눈물…"전재산 잃고 사채업자에 무릎" 매니저 배신 폭로한 연예인들 - 머니투데이
- 인터넷서 산 연고 10년 발랐다가 온몸에 뱀 무늬…끔찍한 부작용 이유는 - 머니투데이
- 안소희 얼마나 변했길래…박진영 "속상하다" 토로한 사연 - 머니투데이
- "500원 더 내고 마셨는데"…이제껏 '디카페인' 커피에 속았던 이유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