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 전염병·과일 화상병 AI로 막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유·무선 통신망이 붕괴된 전시 또는 재난 상황에서 긴급 통신을 할 수 있는 기술을 공공 연구개발(R&D)로 확보했다.
TV의 유휴 주파수 대역(TVWS)을 이용한 '저궤도 위성 백홀 TVWS 릴레이 이동기지국' 기술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유·무선 통신망이 붕괴된 전시 또는 재난 상황에서 긴급 통신을 할 수 있는 기술을 공공 연구개발(R&D)로 확보했다. TV의 유휴 주파수 대역(TVWS)을 이용한 ‘저궤도 위성 백홀 TVWS 릴레이 이동기지국’ 기술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는 16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생활 안전 긴급대응 사업의 R&D 성과 발표 및 시연회를 열었다.
양 부처는 2019년부터 산불 진화, 식중독, 도로 살얼음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D를 수행했다. 이번 행사에선 지금까지 나온 연구 성과 가운데 우수 성과 아홉 가지를 선보였다.
인공지능(AI) 기반 양계 관리 시스템은 가금류 가축전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조기 진단 기술로 이상 상황을 감지해 가축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해수에 포함된 스트론튬-90 방사능 검출 시간을 기존 대비 10분의 1로 줄인 해양 방사능 신속 분석 체계, 감염 과수에서 발생하는 바이오마커를 빠르게 검출할 수 있는 과수 화상병 조기 감지 기술 시연도 이뤄졌다. 이 밖에 전기차 화재 사고 대응 침수조 기술 등을 선보였다.
시연회에 나온 R&D 성과는 오는 20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누구나 볼 수 있다. 정택렬 과기정통부 공공융합정책관은 “정부의 R&D 투자 성과가 국민 생활에 기여할 수 있어 사업의 의미가 매우 크다”며 “얼지 않는 소독제 개발, 신종 마약 판별 키트 등 다양한 재난과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D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이 많은 부자는 '펀드·채권' 우르르…'영리치' 몰린 곳은?
- "혹시 우리동네도? "…땅꺼짐 공포에 부동산 시장 '긴장'
- 럭셔리에 고성능까지…제네시스, 오프로드 SUV 출격
- "1억 넣었으면 4000만원 벌었다"…역대급 수익률에 '우르르' [분석+]
- "전용 78㎡이 3억6000만원"…8년 전 가격에 '전국민 줍줍' 나왔다
- 304명 목숨 앗아간 세월호 참사 원인, 11년만에 밝혀졌다
- "다 바꾸겠습니다"…백종원 더본코리아, 끝없는 논란에 결국
- 매일 '맥주 한 캔' 즐겨 마셨는데…"나도 걸리면 어쩌나" [건강!톡]
- "전용 78㎡이 3억6000만원"…8년 전 가격에 '전국민 줍줍' 나왔다
- '참치캔 1위' 갑자기 상장폐지라니…동원 F&B, 무슨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