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래커칠에 검은천까지 덮였다…7억 들인 尹휘호 표지석 어쩌나

나은정 2025. 4. 16. 15: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 창원의 한국산업단지공단 경남지역본부 앞마당에 설치된 윤석열 전 대통령 친필 휘호 표지석을 두고 창원시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16일 창원시에 따르면 지난해 윤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 같은 달 10일 이 표지석에 검은색 스프레이로 '내란'이라는 문구가 칠해졌다.

민주노총 경남본부는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만큼 표지석을 당장이라도 철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햐 12월 10일 경남 창원시 성산구 한국산업단지공단 경남지역본부 앞에 설치된 윤석열 대통령 표지석에 ‘내란’이라는 글자가 덧칠돼 있다. 해당 표지석은 현재 가림막이 설치된 상태다. [연합]

[헤럴드경제=나은정 기자] 경남 창원의 한국산업단지공단 경남지역본부 앞마당에 설치된 윤석열 전 대통령 친필 휘호 표지석을 두고 창원시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16일 창원시에 따르면 지난해 윤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 같은 달 10일 이 표지석에 검은색 스프레이로 ‘내란’이라는 문구가 칠해졌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경남본부가 불법 비상계엄에 대한 분노의 표시로 ‘낙인’을 찍은 것이었다.

이 표지석은 래커칠 된 바로 다음날부터 현재까지 검은 천에 덮여 가려졌다.

시가 소유한 이 표지석은 지난해 4월 창원국가산단 50주년을 기념해 세운 것으로, ‘산업 강국의 요람 창원국가산업단지 2024.4.24. 대통령 윤석열’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표지석과 인근 조형물 설치 등 전체 표지석 부지 조성에 약 7억원이 투입된 것으로 파악됐다.

검은 천으로 덮여 가려진 지 4개월여가 흘렀지만, 윤 전 대통령의 파면에도 시는 이렇다 할 처리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 시 관계자는 “(재물손괴 혐의 등으로) 현재 경찰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며 “수사 결과와 이후 상황을 보고 존치 여부 등에 대한 판단을 내릴 예정이다”고 말했다.

민주노총 경남본부는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만큼 표지석을 당장이라도 철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노총 경남본부 관계자는 “계엄 선포 등으로 파면된 대통령 표지석을 지역을 대표하는 공공기관 앞마당에 두어야 하느냐”며 “하루빨리 철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처리 방법을 두고 공론화의 과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황현일 국립창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표지석 철거를 주장하는 단체와 표지석을 소유한 창원시 간의 사전 협의나 합의 과정이 있어야 한다”며 “이 과정에서 결정이 나지 않는다면 공론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2015년 7월 세종시 신청사 개청을 기념해 세운 박근혜 전 대통령 친필 표지석도 이듬해 국정농단 의혹으로 철거 요청이 이어졌으나 논란 긑에 그대로 보전 중이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