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에 짓눌린 부산·광주·제주…대출 연체율 사상 최고

박재원 2025. 4. 15. 17: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방 경기가 차갑게 식으면서 부산과 광주, 제주 등의 은행 대출 연체율이 사상 최고치로 치솟았다.

인천, 강원, 경북, 부산, 제주 등의 올 1월 가계대출 연체율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한 시중은행 여신 담당 부행장은 "소비 침체, 건설업 부진, 인구 유출 등 부정적 요소가 수두룩한 상황에서 연체율이 꺾이지 않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권에선 무너진 지역 경제를 되살리지 못하면 전국 가계대출 연체율이 계속 급등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이 나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방 경기침체 여파에 빚 못 갚는 가구 급증
부산 0.5%·제주 1.2%·광주 0.6%
2023년보다 연체율 최대 두 배
인구 급감·미분양 증가 등 겹악재
폐업까지 속출하며 빚 상환 못해
지방은행 부실채권 점점 쌓여
정부 차원 지원책 마련 돼야

지방 경기가 차갑게 식으면서 부산과 광주, 제주 등의 은행 대출 연체율이 사상 최고치로 치솟았다. 고금리·고물가로 주머니 사정이 팍팍해진 데다 부동산 경기 침체, 인구 유출로 인한 성장 저하 등 겹악재가 지역 경제를 짓누르고 있어서다. 업계에선 전국 대출 연체율이 우상향 곡선을 그리는 만큼 관련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보고 있다.

 ◇ 미분양·연체·폐업 줄줄이 늘어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1월 은행권 전국 가계대출 연체율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9년 이후 최고치(0.43%)를 기록했다. 2022년 1월(0.17%)에서 2년 새 두 배 이상 뛰었다. 작년 1월 연체율은 0.38%였다.

지역별 연체율도 올 들어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인천, 강원, 경북, 부산, 제주 등의 올 1월 가계대출 연체율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특히 제주는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도는 1.19%를 기록했다. 불과 2019~2021년만 해도 0.3% 안팎을 유지하던 연체율이 2023년부터 가파르게 뛰었다. 코로나19 이후 무너진 지역 경제를 지지하던 정책 자금이 축소되자 연체가 급증했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제주를 찾는 관광객의 소비가 줄고 청·장년층 인구가 급감하면서 대출 연체율은 물론 폐업자 수도 빠르게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인구 감소로 골머리를 앓는 부산도 상황은 비슷하다. 인구 소멸과 함께 최악의 부동산 경기 침체로 몸살을 앓고 있다. 올해 신규 분양이 감소했지만, 미분양 주택은 4565가구로 되레 늘었다. 건설정책연구원에 따르면 부산 전체 빈집은 11만4245가구로 7대 특별·광역시 가운데 가장 많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줄어든 소비에 한계에 내몰린 소상공인이 속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 집계 결과 올해 1~2월 부산 지역 소상공인에게 지급된 폐업 공제금(노란우산 공제금)은 2007년 이후 가장 많았다.

산적한 악재에 은행 연체율은 지난 1년 새 0.32%에서 0.45%로 올랐다. 대구(0.50%), 광주(0.58%), 전북(0.76%) 등도 역대급 연체율을 기록했다. 한 시중은행 여신 담당 부행장은 “소비 침체, 건설업 부진, 인구 유출 등 부정적 요소가 수두룩한 상황에서 연체율이 꺾이지 않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 “지역 경제 되살릴 대책 마련 시급”

지역 고객에게 기반을 둔 지방금융지주도 건전성 관리에 적신호가 켜졌다. 연체율이 최근 몇 년 새 걷잡을 수 없이 뛰고 있어서다. BNK금융지주의 연체율은 2022년 말 0.40%에서 작년 말 0.94%로 급등했다. 부실 대출로 불리는 고정이하여신비율 역시 같은 기간 0.45%에서 1.18%로 상승했다. 문제는 이 수치가 부실채권을 대거 처분해 낮춘 결과치라는 점이다. 부산·경남은행의 지난해 부실채권 상·매각 규모는 사상 최대인 1조477억원에 달했다. 2022년에는 3994억원에 불과했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은행마다 담당자들이 모니터링하고 있는 상·매각 이전 연체율은 드러난 것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라며 “호실적을 바탕으로 부실채권을 떨어내고 있지만 실제 은행 내부의 위기감이 상당하다”고 털어놨다. iM금융(옛 DGB금융)과 JB금융의 연체율은 최근 2년 새 0.61%에서 1.34%, 0.58%에서 1.13%로 각각 상승했다.

금융권에선 무너진 지역 경제를 되살리지 못하면 전국 가계대출 연체율이 계속 급등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이 나온다. 빚에 짓눌린 서민을 위한 발 빠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연체율 상승은 금융회사들의 건전성 악화는 물론 지역 경제의 추가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정부 차원의 종합 대응 방안을 검토해야 할 때”라고 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