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부진 장기화에 충청지역 주요 상권들 찬바람 '쌩쌩'

김민 기자 2025. 4. 14. 18: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충청지역 주요 상권에도 빈 상가가 늘어서고 있다.

고물가와 고금리 부담을 이겨내지 못한 소상공인들이 잇따라 임차를 포기하며 상가 공실률이 증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구체적인 소비 활성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4분기 상가 공실률 대전·세종·충남·충북 모두 전국 평균 상회
세종·충북, 전국서 1·2위 불명예… 대전 둔산 등 노른자 땅도 힘 잃어
정부·지자체 차원 소비 촉진 활성화 대책 등 소상공인 지원방안 시급
대전일보DB.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충청지역 주요 상권에도 빈 상가가 늘어서고 있다.

고물가와 고금리 부담을 이겨내지 못한 소상공인들이 잇따라 임차를 포기하며 상가 공실률이 증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구체적인 소비 활성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14일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대전·세종·충남·충북의 중대형 상가 평균 공실률은 모두 전국 평균치(13.03%)를 웃돌았다.

구체적으로 세종(24.09%)과 충북(19.50%)은 나란히 전국 상가 공실률 1·2위의 불명예를 안았고, 대전(15.11%)과 충남(13.52%)도 공실률이 가장 낮은 서울(8.85%)과 견줘 5%포인트 안팎의 차이를 보였다.

이들 지역은 충남을 제외하고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지난 2020-2022년 3년간보다 공실률이 증가했다는 점에서 '줄폐업'의 위기감이 짙다.

2020년 4분기 기준으로 4년 만에 대전은 1.34%포인트, 세종은 5.49%포인트, 충북은 2.48%포인트 올랐다. 이 기간 충남만 0.71%포인트 소폭 하락했을 뿐 모두 상승세를 이어간 셈이다.

특히 지역 대표 '노른자 상권'인 대전 둔산(11.15%)과 유성온천역(13.33%), 세종 조치원(24.98%), 충남 천안 두정(13.24%), 천안종합버스터미널(14.65%), 충북 청주 성안길(31.14%), 율량동(18.47%) 등이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는 점도 뼈아픈 대목이다.

지역 상권에서 빈 상가가 늘어나는 주원인은 해를 거듭해 이어지는 고물가와 고금리 여파다. 소비심리가 악화되면서 저조한 내수 경제를 견디지 못한 소상공인이 영업을 관두는 악순환이 지속되는 양상이다.

대전 서구 공인중개사 A 씨는 "둔산 상권은 상가 공실이 크게 발생한 지 3-4년은 됐다"며 "자영업자들이 높은 금리에 더 이상 대출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 내몰리다 보니 수 년간 일군 삶의 터전을 포기하고 상권을 떠나는 경우가 잦아졌다"고 말했다.

이에 대전시 등 각 지자체는 경영회복 보조금과 인건비, 정책자금 지원 등 지역 소상공인의 재도약을 돕고 있지만, 단기적인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가라앉은 내수 시장을 살리기 위해선 정부 차원의 선별적·직접적 재정 지원은 물론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지역 한 경제계 인사는 "내수 경제가 활성화되지 않는다면 지역 상가 공실률은 장기화·가속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선별적·직접적 재정 지원 등과 함께 소비심리를 회복하기 위한 물가 안정화 정책이 수반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