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능하다더니 헛발질만...지지율 '흔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집권 초 강경하게 정책을 밀어붙이면서 혼란이 가중되자 기존 정치인을 비판하며 '성공한 사업가', '유능한 대통령' 이미지를 내세운 그의 입지가 위기에 처했다는 진단이 나온다.
11일(현지시간)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지난 두 달 반 동안 여러 '헛발질'들을 보여주는 바람에 '일을 해내는 사람'이라는 그의 정치적 이미지가 위협에 처했다고 짚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근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집권 초 강경하게 정책을 밀어붙이면서 혼란이 가중되자 기존 정치인을 비판하며 '성공한 사업가', '유능한 대통령' 이미지를 내세운 그의 입지가 위기에 처했다는 진단이 나온다.
11일(현지시간)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지난 두 달 반 동안 여러 '헛발질'들을 보여주는 바람에 '일을 해내는 사람'이라는 그의 정치적 이미지가 위협에 처했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존 엘리트 정치인들의 무능을 비판하고, 성공한 사업가인 자신은 문제를 해결하는 유능함을 갖췄다고 주장하며 정계에 입문했다.
지난 대선 선거 운동에서도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고령과 인지력 논란을 지적했고 이후 등판한 민주당 대선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 역시 성별·인종 등 다양성 덕에 성공했을 뿐 실제로 해낸 일은 없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자신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부터 고물가, 국경 문제 등의 문제를 빠르게 해결해내는 유능한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는 어느 정도 유권자들에게 유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WP는 여러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막말과 허세에 거부감을 느끼던 유권자들도 그가 실질적인 성과를 가져다 줄 것이라는 생각에 그를 뽑은 경우가 있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두 달 반 동안 보여준 행보는 이런 유권자들에겐 실망을 가져다줄 수 있다고 WP는 짚었다.
트럼프 행정부가 단행한 대대적인 공무원 구조조정은 혼란과 부작용을 빚었고, 필요한 인력을 실수로 해고했다가 다시 고용하는 어이없는 실수도 벌어졌다.
대규모 이민자 추방 작전은 인력 및 이민자 수용 공간 부족 등의 난관에 부딪쳤다. 변덕스러운 관세 정책은 미 증시 폭락 등을 일으켜 투자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유능한 대통령을 기대한 유권자들 사이에서는 실망감이 일어나고 있다. 이달 초 실시된 이코노미스트와 여론조사업체 유고브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 비율은 43%로, 취임 후 최저를 기록했다. 부정 평가 비율은 51%였다.
메릴랜드대 공공정책학과의 도널드 케틀 명예교수는 대중들이 실제로 정부의 국정 수행 능력에 얼마나 관심을 두는지를 두고는 항상 논란이 있다면서도, "정부가 일을 망치는 것을 본 대중은 이를 기억하며 이는 투표함에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다만 아직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초기라 지지자들이 아직 완전히 등을 돌린 것은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자신을 트럼프 지지자도, 배척자도 아니라고 밝힌 빈 웨버 전 공화당 미네소타주 하원의원은 "대중들은 아직 트럼프 대통령에게 기회를 주고 있다"면서 최근 논란에 대해 "아마 트럼프 행정부가 큰 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초기 실수일 뿐"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박근아기자 twilight1093@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