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공기여 통합관리제’ 10년…실태조사 용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각종 개발사업에 따른 공공기여를 노인 요양시설 등 지역 맞춤형 공공시설로 할 수 있게 하는 '공공기여 통합관리제' 실태를 평가한다고 오늘(13일)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지난 10년간 운영된 이 제도의 실태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방안을 찾기 위한 '공공기여 자산의 관리·활용 방안 마련' 용역에 이달 중 착수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각종 개발사업에 따른 공공기여를 노인 요양시설 등 지역 맞춤형 공공시설로 할 수 있게 하는 ‘공공기여 통합관리제’ 실태를 평가한다고 오늘(13일)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지난 10년간 운영된 이 제도의 실태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방안을 찾기 위한 ‘공공기여 자산의 관리·활용 방안 마련’ 용역에 이달 중 착수합니다.
공공기여는 정비사업 중 건축 기준 완화 등 사업 제안자가 얻게 되는 이득 일부를 공공에 환원하는 제도입니다.
과거에는 도로나 공원 등 획일적으로 공공기여가 공급됐지만 2015년 서울시가 이 제도를 도입하면서 노인 요양시설, 창업센터, 키즈카페, 지역 예술교육센터 등을 공급하는 방식도 가능해졌습니다.
서울시는 저출산·고령화 등에 따른 저이용 시설 현황을 조사하고, 공공기여를 토지·건축물·현금 등으로 받는 방안을 살펴보기 위해 이번 용역을 기획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주요 대규모 개발 사업 지역을 사례로 공공 기여량을 예측하고, 지역 여건을 고려한 합리적 공공기여 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도 마련할 계획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혜주 기자 (khj@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패권이 저물고 있다, 그래서 트럼프가 저런다
- “헌법은 대한민국의 집” 퇴임 앞둔 문형배 6년 전 다짐 [풀영상][이런뉴스]
- “산불은 꺼졌지만”…27일 새벽 영덕 달려간 소방관이 남긴 말 [이런뉴스]
- 한국은행이 만든 ‘코인’ 직접 써 봤습니다
- [크랩] 대형마트 허덕인다는데 코스트코는 왜 잘 나갈까?
- “싸우지 못한 나를 자책하지 않도록”…전 핀수영 선수의 탄원서
- “참을 인 세 번? 뭐하러?” 소액주주가 달라졌다
- 산재에 ‘고관절 골절’…장애인이라 장해급여 없다고요?
- 노인 나이 상향 논의 본격화…“70세로 단계적 상향”
- [재난·안전 인사이드] 대형 산불 부른 ‘작은 불씨’…캠핑장도 안심 못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