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챗봇과 역할 놀이?…성적 대화 유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공지능(AI) 챗봇과 성적인 대화를 주고받은 내용이 인터넷에 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인 환상을 채우는 역할 놀이를 하려고 설계된 AI 챗봇이 실시간으로 사용자와의 대화 내용을 인터넷에 유출하고 있다고 미국 잡지 와이어드는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유출된 내용을 보면 일부 사용자는 아동 성적 학대를 자세히 그리는 대화를 했다.
업가드 연구원은 "모든 대화가 성적으로 노골적인 역할 놀이였다"며 "일부는 어린이와의 성관계를 얘기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유혜진 기자)인공지능(AI) 챗봇과 성적인 대화를 주고받은 내용이 인터넷에 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인 환상을 채우는 역할 놀이를 하려고 설계된 AI 챗봇이 실시간으로 사용자와의 대화 내용을 인터넷에 유출하고 있다고 미국 잡지 와이어드는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정보보호 업체 업가드는 지난달 보안 취약점을 찾다가 인터넷에 노출된 AI 시스템을 400개 발견했다. 이 가운데 117개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에서 대화 내용이 새고 있었다.
유출된 내용을 보면 일부 사용자는 아동 성적 학대를 자세히 그리는 대화를 했다. 미리 설정한 AI 캐릭터와 역할 놀이를 했다. 예를 들어 A라는 한 사람은 학교 기숙사에서 다른 여성 3명과 함께 살고, 내성적인데 종종 슬퍼 보인다는 10대 여성으로 묘사됐다. 업가드 연구원은 “모든 대화가 성적으로 노골적인 역할 놀이였다”며 “일부는 어린이와의 성관계를 얘기했다”고 말했다.
업가드는 어떤 사이트나 서비스에서 정보가 빠져나갔는지는 알아내지 못했다. 다만 기업이 아닌 개인이 쓰는 AI 챗봇에서 일어난 것으로 짐작했다. 대화한 사용자 이름이나 개인정보는 빠져나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유혜진 기자(langchemist@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보안리더] 박영호 정보보호학회장 "보안은 브레이크···기업 보안인력 적어"
- "작년 한국 웹 기반 공격 1천만건"
- 토스 "방화벽 자동 작업해 사이버 보안…포티넷 활용"
- BBC "생성형 AI가 뉴스 왜곡"... 절반 이상 답변서 심각한 오류
- AI 저작권 보호, 어디까지 가능할까…美 저작권청 보고서
- [현장] "대기업 밀어주기? NO"…국가대표 AI, '무빙타깃' 평가로 생존게임 돌입
- [국가대표 AI] "실망하긴 이르다"…정부, 이달 말 '특화 AI' 사업자 선정 또 나설 듯
- APEC 디지털·AI 장관선언문 채택...21개국 정책협력 합의 도출
- 사람 없어도 OK…로봇배달, 물류 주체로 시장 커진다
- 김성환 환경부 장관 "전기차 보조금 승용 기준 점유율 30% 될 때까지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