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신안산선 붕괴 고립자 13시간 만 구조…"의사소통 가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 붕괴 사고로 고립됐던 20대 굴착기 기사가 13시간여 만에 구조됐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12일 오전 4시27분 A씨를 붕괴 현장에서 구조했다.
A씨는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공사 현장 상부 도로에서 안전진단을 진행하는 굴착기 기사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대 굴착기 기사 13시간만 구조…1명 실종
[수원=뉴시스] 양효원 기자 =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 붕괴 사고로 고립됐던 20대 굴착기 기사가 13시간여 만에 구조됐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12일 오전 4시27분 A씨를 붕괴 현장에서 구조했다. 전날 오후 3시13분 붕괴 사고가 발생한 지 13시간14분 만이다.
A씨는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공사 현장 상부 도로에서 안전진단을 진행하는 굴착기 기사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오후 3시13분 지하터널 내부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지하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 50m가량이 붕괴했을 당시 지하로 추락했는데, 극적으로 소방당국과 연락이 닿아 자신이 있는 위치 일부를 진술했다.
A씨는 눈앞에 보이는 물체와 자신이 서 있던 위치 등을 기억해 전달했고 소방당국은 A씨 진술을 토대로 지하로 드론을 보내 위치 파악에 나섰다.
이어 약 3시간여 뒤인 오후 6시께 A씨가 고립된 위치 인근을 특정해 크레인 등 중장비를 투입, A씨가 고립된 곳에 쏟아져 있는 구조물 등을 치우는 밤샘 구조 작업이 이뤄졌다.
A씨는 구조 당시 의식이 명료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병원에 옮겨져 치료받고 있다.
나머지 1명 실종자는 여전히 연락이 닿지 않고 있다.
앞서 지난 10일 오후 9시50분께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내 축대가 휘어지면서 균열이 발생해 굉음이 나자 작업자 17명이 대피했다.
이어 오후 11시58분 현장에 있던 관계자가 시청에 상황을 신고했고, 광명시는 11일 0시 경찰에 교통 통제 협조 요청을 보냈다.
경찰은 현장에 나가 광명 양지사거리부터 안양 호현삼거리까지 왕복 6차선 오리로 1㎞ 구간을 통제했다. 이후 오후 3시13분 이곳이 붕괴했다.
붕괴로 인한 인근 건물과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시는 추가 붕괴 상황을 우려해 인근 주민들에게 대피 명령을 내렸다. 대피 대상자는 인근 아파트와 오피스텔 거주자 2444명으로 시민체육관과 학교 등 8곳에 나눠 대피했다.
소방당국은 연락이 닿지 않는 실종자에 대한 수색을 이어갈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hyo@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