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자존심 구겼다… 세계 부자도시 19위서 24위로 떨어진 까닭

정아임 기자 2025. 4. 11. 18:1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한강 인근에서 바라본 아파트의 모습. 기사와 관련 없음./연합뉴스

지난해 전 세계 가장 부유한 50대 도시 가운데 서울이 가장 큰 폭으로 순위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순위는 24위로, 전년도 19위에서 5계단 하락했다.

10일 영국 투자 이민 컨설팅 업체 헨리앤드파트너스와 자산 정보 업체 뉴월드웰스의 ‘가장 부유한 50대 도시’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12월 기준으로 서울에 사는 백만장자 수는 6만6000명으로 전년(8만2500명)보다 줄었다. 순위는 24위로, 전년도 19위에서 5계단 내려갔다. 이는 50대 도시 중 가장 큰 낙폭이다.

이 통계에서 백만장자는 상장사 주식과 현금 보유액, 암호화폐 등 ‘투자 가능한 유동 자산’이 미화 100만달러(작년 말 환율로 약 14억7000만원) 이상인 사람을 가리킨다. 부동산은 제외된다.

서울에서 이 같은 자산이 1억달러(작년 말 환율로 약 1470억원) 이상인 억만장자는 148명으로, 역시 전년(195명)보다 줄었다. 백만장자 수를 10년 전과 비교한 증가율은 17%로, 전년도(2013∼2023년) 증가율 28%보다 크게 낮아졌다.

보고서를 발행한 연구팀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면서 먼저 원화 가치 하락을 꼽았다.

한 연구진은 “2024년 미 달러 대비 한국 원화는 꽤 큰 절하를 겪었다. 이는 미국 달러를 기준으로 하는 우리 통계에서 중요한 요인”이라며 “달러 기준 코스피 지수는 한 해 동안 20% 이상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많은 수의 고액 자산가가 나라 밖으로 빠져나갔다”고 했다.

이 외에도 연구진은 “이와 같은 모든 요인에 있어 정치적 상황과 시위는 분명히 주요 동인”이라고 했다.

헨리앤드파트너스가 별도로 발표한 2024년 국가별 백만장자 순유출 추정치에서도 한국은 1200명으로, 중국(1만5200명)과 영국(9500명), 인도(4300명)에 이어 세계 4번째로 많았다.

이번 보고서에서 세계 최고 부자 도시는 미국 뉴욕시(38만4500명)였으며,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34만2400명), 일본 도쿄(29만2300명), 싱가포르(24만2400명), 미국 로스앤젤레스(22만600명)가 뒤를 이었다.

런던은 21만5700명으로, 처음으로 5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테크 부문에서 미국 장악력이 커지고,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높은 세금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