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블더] '통화 종료' 안해 듣게 된 남편의 '외도 대화' 녹음…유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통화를 마치고 미처 종료 버튼을 누르지 않아 우연히 듣게 된 외도 증거 대화 녹음에 대해 법원이 통신비밀보호법 위반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남편의 외도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 휴대전화에 스파이앱을 몰래 깔고, 이를 통해 얻게 된 통화 녹음을 아내가 제출한 사례에서는 지난해 대법원이 해당 녹음 내용의 증거능력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화를 마치고 미처 종료 버튼을 누르지 않아 우연히 듣게 된 외도 증거 대화 녹음에 대해 법원이 통신비밀보호법 위반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어떻게 된 일일까요.
아내 A 씨는 지난 2020년 밤 11시쯤 남편 B 씨에게 전화를 걸었습니다.
당시 B 씨는 직장 동료인 여성 C 씨 차를 타고 귀가 중이었는데, 아내와 통화를 마친 뒤 종료 버튼을 누르지 않아 A 씨가 남편과 C 씨와의 대화 내용을 우연히 듣게 됐습니다.
A 씨는 이 대화가 외도의 결정적인 증거라 생각했고, 자동 녹음 기능으로 녹음된 해당 대화를 남편과의 이혼 소송과 C 씨를 상대로 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 증거로 제출했습니다.
외도 증거로 녹음 파일을 제출한 A 씨에게 돌아온 것은 타인 간 대화 내용 누설 혐의였습니다.
타인의 대화를 동의 없이 듣고 이를 녹음해 제출했다는 이유였는데요.
명예훼손과 협박 등 혐의도 받았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A 씨가 해당 대화를 들은 것이 잘못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처음부터 외도 증거 수집을 하기 위해 대화를 듣고 또 녹음한 것이 아니라는 이유에서인데요.
증거능력 인정 여부 판단을 위해 재판부가 녹음 내용을 검토하는 것 역시 사생활 비밀을 침해하는 것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우리 법체계에서는 대체로 형사소송과 달리, 민사소송법상 가사소송의 경우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의 증거능력 배제 법칙을 조금 더 유연하게 적용하고 있습니다.
형사재판에서는 불법 녹음으로 인정이 돼도, 민사 또는 가사 재판에서는 불법으로 볼 수 없다는 재판부의 판단이 많은데요.
하지만 일부 사건의 경우 민사 재판이라도 불법 녹취를 증거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남편의 외도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 휴대전화에 스파이앱을 몰래 깔고, 이를 통해 얻게 된 통화 녹음을 아내가 제출한 사례에서는 지난해 대법원이 해당 녹음 내용의 증거능력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대법원은 나머지 증거들을 토대로 부정행위를 인정해 아내에게 위자료를 지급하라고 한 원심을 확정했습니다.
(영상편집 : 문이진, 디자인 : 석진선)
정혜경 기자 choice@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위증교사' 재판받던 전북교육감 처남, 숨진 채 발견
- 13시간 만에 구조된 실종자, 구조대원과 나눈 대화는?
- 부천 아파트 주차장서 '체액 테러'…남성 정체에 '경악'
- 전화 잘못 건 상대에 27번 '따르릉'…"죽여버릴까" 40대 결국
- "과일 장사 접게 해줄까?"…경찰 신고에 앙심 품고 행패
- '쾅' 들이받더니 지인 불러 "네가 했다고 해"…허위 진술 최후
- 오세훈 불출마에 국민의힘 판세 출렁…김문수·나경원은 '동행'
- 명태균 "박형준 만난 적도 본 적도 없다"…강혜경 주장 반박
- 헌법재판관 임명이 이재명 전 대표 재판의 변수가 될까? [취재파일]
- 피해자가 가해자로…'정당방위'는 어디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