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노인기준 연령 협의체’ 발족…범부처 논의 착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노인기준 연령 조정을 위한 논의의 첫 단계로 9일 '노인기준 연령 협의체'를 발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협의체는 범부처 차원에서는 처음으로 구성·운영되는 노인기준 연령 관련 논의 기구로, 보건복지부,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등 노인기준 연령에 대한 관계부처간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고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노인기준 연령 조정을 위한 논의의 첫 단계로 9일 ‘노인기준 연령 협의체’를 발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협의체는 범부처 차원에서는 처음으로 구성·운영되는 노인기준 연령 관련 논의 기구로, 보건복지부,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등 노인기준 연령에 대한 관계부처간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고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의체는 특히 고용·소득(정년, 국민연금, 기초연금 등), 복지서비스(교통시설 경로우대 할인, 돌봄, 문화생활 지원 등) 등 부처별로 산재된 노인기준 연령 관련 정책의 일관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저고위는 또 협의체를 중심으로 관계부처와 함께 전문가, 단체, 이해관계자 등에 대한 의견수렴과 연구용역도 병행할 계획이다.
저고위는 논의 결과를 정책과제로 제시하고, 올해 말 발표하는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 반영할 예정이다.
주형환 저고위 부위원장은 “노인연령 기준 조정은 초고령화 대응의 출발점으로 단순히 연령 숫자를 바꾸는 문제가 아니라, 경제·사회 전 분야에 걸친 구조적 변화를 요구하는 과제”라며 “각 부처에서도 소관 제도·사업의 노인기준 연령 조정에 관한 현황과 파급효과 등을 면밀히 검토해 점진적이고 통합적이며 유연한 해결책을 함께 마련해 나갈 것”을 당부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9년째 불륜’ 김민희·홍상수, 득남…“혼외자도 재산 상속 가능”, 호적은 어떻게 되나
- 생리대 재탕에 뿔난 엑소 출신 타오 “생리대 공장 설립해 24시간 생중계”
- “박나래? 오빠 아까워” 만취한 보아 ‘술방’…전현무도 사과
- “그가 돌아왔다” 권지용 KAIST 교수…‘AI 엔터테크’ 발전 이끈다
- “여보, 애는 이때 갖자” ‘날씬 체질’ 낳는다는 임신 타이밍, 언제?
- 가수 김정민 아들, 알고보니 U-17 아시안컵 日 대표팀 공격수
- “진짜 부자들은 ‘이것’ 안해”…현대家 사돈 백지연이 공개한 ‘부자되는 법’
- “술 왜 몰래 버려?” 꾸지람 들은 20대 女직원 퇴사…누리꾼들 ‘갑론을박’
- “기억력 좋다”…이천수, 알고보니 건진법사 ‘공천 뒷돈’ 목격자
- ‘국민 여동생’에서 ‘불륜女’로 추락하더니…이번엔 ‘간호사 폭행’ 체포된 日 여배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