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보좌관들 상호관세 평균 20% 부과 제안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백악관 보좌관들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20% 정도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제안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보좌관들은 관세의 목표가 미국과 다른 국가 간의 무역을 더 공평하게 만들고 연방 정부의 세수를 늘리는 것이라고 말해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골드만 삭스의 평균 관세율 예측 15% 보다 높아
"최종 결정 안내려진 상태로 검토되는 옵션중 하나"
백악관 보좌관들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20% 정도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제안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전세계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계획에 대한 세부 사항을 기다리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또 전날 골드만 삭스가 예상한 평균 15% 범위보다 높은 것이다.
CNBC와 로이터들이 인용한 이 보도에 따르면, 백악관 보좌관들은 아직 최종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으나 20% 정도의 관세 부과안을 초안으로 작성했으며 몇 가지 옵션이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또 관세 구상에서 국가별로 "상호'접근하는 방식도 고려중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언급했다.
다수의 소식통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새로운 관세 수입으로 들어올 수조달러를 세금 환급 등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과 보좌관들은 관세의 목표가 미국과 다른 국가 간의 무역을 더 공평하게 만들고 연방 정부의 세수를 늘리는 것이라고 말해왔다.
전 날 골드만 삭스는 보고서에서 상호 관세로 15% 정도의 평균적인 관세율을 예상하고 협상을 통해 장기적으로 9%로 내려갈 것이라는 예측을 내놨다. 월가의 예상에 비해 백악관 보좌관들의 초안이 높은 것이다.
미국 경제학자들은 높아질 관세가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상승과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일부 국가들이 보복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도 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유튜브 하고 싶은데…" 2030 '인기 폭발' 자격증 뭐길래
- 피클·오이지 즐겨 먹었는데…뜻밖의 연구 결과에 '충격' [건강!톡]
- "커피 아냐"…편의점서 불티난 1위 음료
- "주가 25% 치솟았다가 20% 폭락"…날벼락 맞은 이유가
- "한국, 압도적 세계 1위"…로봇이 일자리 뺏는다더니 '반전'
- '1조 대박' 오리온 또 일냈다…초코파이마저 제친 '이 제품'
- 노엘 "고마워, 사랑해"…父 장제원 비보 후 올린 글 보니
- "돌반지 안 팔길 잘했네"…금값 나날이 치솟더니 결국
- "월세 너무 비싸"…회사 화장실서 먹고 자는 18세 직원
- 1년 전기료만 '1900억'…'더이상 못 버텨' 문 닫은 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