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한 토목기술의 아라가야 왕성" 함안 가야리유적 조사성과 공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함안군과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가 가야리유적 북서편 곡간지(谷間地)인 1구역에서 실시한 발굴조사의 성과를 공개했다.
가야리유적은 그 간의 조사로 아라가야 전성기에 속하는 5세기 후엽부터 아라가야의 왕성으로 기능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난 2018년부터 현재까지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에서 발굴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함안군과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가 가야리유적 북서편 곡간지(谷間地)인 1구역에서 실시한 발굴조사의 성과를 공개했다. 가야리유적은 그 간의 조사로 아라가야 전성기에 속하는 5세기 후엽부터 아라가야의 왕성으로 기능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난 2018년부터 현재까지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에서 발굴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2023년부터 조사 중인 1구역에서 나무틀을 짜고 흙을 다져 성벽을 쌓은 판축(版築) 토성, 성 내부의 습하고 연약한 지반에 부엽층과 사질층을 번갈아 쌓아 생활공간을 마련한 대지조성, 성 안의 물을 배출해 성벽을 보호하는 2기의 배수시설, 성 안의 물을 모으는 집수시설이 확인됐다.
판축 나무 기둥(永定柱)을 세우고 기둥과 기둥사이에 판재(夾板)를 이어 붙여 네모꼴의 구조틀을 만들어 그 안에 흙을 켜켜이 다져서 제방이나 성벽을 쌓는 고대의 토목기술이다.
특히, 이번에 새로 공개된 집수시설은 지름 9.7m, 현시점 깊이 1.9m 이상 규모의 원형계 석축(石築) 집수지이다. 아래쪽은 잘 다듬은 돌로 바른층쌓기를 했고, 위쪽은 자연돌과 다듬은 돌로 허튼층쌓기했는데, 상·하 석축 간 축조기법의 차이는 시간차를 두고 고쳐 사용한 흔적으로 파악된다. 바른층쌓기는 돌의 면 높이를 같게 해 가로줄눈이 일직선이 되도록 쌓는 방법이며, 허튼층쌓기는 줄눈을 불규칙하게 쌓는 방법이다. 향후 집수지 내부 발굴조사를 통해 축조 수법, 배수로와 연계된 배수체계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야리유적의 판축토성과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배수시설은 가야 토성 최초의 예이며, 왕성 배후의 봉산산성, 가야리 제방, 아라가야 권역의 성곽 방어체계는 당시 아라가야가 고대국가로서 성장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함안군은 앞으로도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와 함께 체계적인 발굴조사와 융복합연구를 통해 아라가야 왕성의 구조, 축조기술, 공간구성, 왕성 주변의 경관을 체계적으로 밝혀나갈 예정이다.
조근제 함안군수는 "함안은 아라가야의 도읍으로서 역사적·경관적 가치가 잘 보존되어 있고, 그 중심에 가야리유적이 있다"면서 "고도 지정 추진에 박차를 가해 유적의 보존과 육성을 병행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경남CBS 이상현 기자 hirosh@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겹다 지겨워"…늦어지는 '尹탄핵선고' 최적의 시기는?[노컷투표]
- 전한길 절친 작심 비판 "쓰레기 같은 짓 계속해…인연 끊자"
- 평균 61세·최고령 81세…산불 최전선에 선 위험한 노인들
- 성전환 후 머스크와 연 끊은 딸…"생부는 한심한 애"
- 뉴진스 팬덤 "멤버들 부모님, 대형 로펌 만났다…계획 준비"
- 복학 등록 마감 의대, 속속 제적 절차 돌입…'제적 예정 통보서' 발송
- 한종희 부회장 비보에 삼성·업계 침통…"37년 간 회사에 헌신하신 분"
- "尹 지키자" 안중근 사진…탄반집회 두고 '독립운동' 운운[오목조목]
- 트럼프2기 실세 만난 김동연…韓美 외교 '돌파구' 마련?
- 보험사, GA 판매위탁시 불완전판매율·제재이력 살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