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영변 핵시설 지속적 가동 징후…김정은 지시 이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영변 핵시설을 지속적으로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의 북한전문매체가 보도했다.
7일(현지시간) 38노스는 올해 촬영된 상업용 위성사진들을 분석한 결과, 영변 핵시설의 방사화학실험실(RCL)에서 간헐적으로 연기가 뿜어져 나오는 모습과 우라늄농축시설 위에 쌓인 눈이 녹은 것 등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38노스는 영변 핵시설의 화력발전소에서 연기가 간헐적으로 관찰되고 있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뉴스24 김효진 기자] 북한이 영변 핵시설을 지속적으로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의 북한전문매체가 보도했다.
7일(현지시간) 38노스는 올해 촬영된 상업용 위성사진들을 분석한 결과, 영변 핵시설의 방사화학실험실(RCL)에서 간헐적으로 연기가 뿜어져 나오는 모습과 우라늄농축시설 위에 쌓인 눈이 녹은 것 등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또 이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핵물질 생산확대 지시가 이행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38노스는 영변 핵시설의 화력발전소에서 연기가 간헐적으로 관찰되고 있다고 했다. 이는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사이클이 시작됐다는 신호는 아니지만, 핵폐기물 처리나 재처리 준비 같은 하위 수준의 활동이 있음을 뜻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원자로와 발전 터빈이 있는 건물 지붕의 눈이 녹아있는 모습과 수증기가 나오는 장면, 원자로에서 냉각수를 방류하는 모습 등이 관찰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실험용 경수로의 건물 지붕 위에도 눈이 녹아 있는 모습이 나타나고 냉각수 방류가 관찰됐다.
38노스는 이런 특징은 2023년 11월 이후로 거의 중단 없이 관찰됐다면서 원자로, 터빈 발전기 등의 시험가동을 포함한 준비 작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앞서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도 지난 3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IAEA 정기이사회에서 영변과 평양 인근 강선 지역에 있는 핵단지 내 우라늄 농축시설이 지속해서 가동 중인 징후가 있다고 밝혔다.
그로시 총장은 "영변 핵시설 내 경수로도 계속 가동 중인데 경수로 옆에는 지원용 기반 시설이 추가된 점도 관찰된다"면서 영변 핵시설 단지 내 5MWe급 원자로가 약 60일간의 가동 중단 기간을 거쳐 작년 10월 중순부터 가동을 재개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김효진 기자(newhjnew@inews24.com)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다이소 건기식은 안 된다?"…소비자단체, 약사회 규탄
- '불' 붙은 서울 집값…"DSR에 가로막힐까"
- "장제원, 2000만원 돈봉투 건네"⋯"사실 자체가 없다" 반박
- '尹 지지자' 80대 男, 서울 도시건축전시관서 '분신 시도'
- "돈은 언제쯤"⋯홈플러스 입점 사장들 '발동동' [현장]
- "대피하세요!" 소방관 뜯은 문, 1115만원 수리비 지급 결정
- '의대생 증원 0명' 발표에도…의대생들 "협박하나" 부정적
- 홈플러스, 고비 넘기나…오뚜기 이어 롯데웰푸드·삼양식품도 다시 납품
- '대선 모드' 개혁신당, 경선 시작 전부터 '파열음'
- 국민연금, 홈플러스 '1조 손실설'에⋯"3131억 이미 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