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뒷담] 너도나도 AI 기업 찾는 정치인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정치권에서 국내 인공지능(AI) 기업 방문 경쟁이 붙었다.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 추론 AI 개발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한국의 AI 경쟁력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AI 이슈에 부쩍 관심을 쏟는 것이다.
정보기술(IT) 업계 관계자는 5일 "정치권과 정부의 국내 AI 기업에 대한 관심이 1~2년만이라도 더 빨랐다면 좋았을 것"이라며 "지금껏 AI 개발은 민간이 주도했고, 정부는 규제하기 바빴다"고 꼬집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정치권에서 국내 인공지능(AI) 기업 방문 경쟁이 붙었다.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 추론 AI 개발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한국의 AI 경쟁력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AI 이슈에 부쩍 관심을 쏟는 것이다.
국민의힘 원내 지도부는 6일 서울 강서구 LG AI연구원에서 AI 업계와 현장 간담회를 개최한다. LG AI연구원, 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 뤼튼테크놀로지스, 업스테이지 등 국내 주요 AI 기업 및 스타트업 관계자들이 모두 모인다. AI 기술 시연도 진행할 예정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달 19일 경기도 성남시 네이버 1784 사옥을 방문했다. 과방위 의원들은 최수연 네이버 대표 등을 만나 AI 진흥을 위한 제도 개선 방향과 현장의 애로 사항을 들었다.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 민주연구원도 지난 2일 이재명 대표와 업계 관계자들의 AI 관련 대담 영상을 유튜브에 공개했다. 앞서 국민의힘과 민주당 모두 ‘딥시크 쇼크’에 따른 긴급 간담회를 열기도 했다.
업계에선 이 같은 정치권 행보가 보여주기식으로 끝날 것을 우려한다. 정보기술(IT) 업계 관계자는 5일 “정치권과 정부의 국내 AI 기업에 대한 관심이 1~2년만이라도 더 빨랐다면 좋았을 것”이라며 “지금껏 AI 개발은 민간이 주도했고, 정부는 규제하기 바빴다”고 꼬집었다. 네이버와 LG AI연구원은 지난 2021년 이미 자체 기술로 초거대 AI 모델을 개발했지만, 이후 딥시크처럼 주목받는 모델이 나오진 못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정부 지원이나 규제 완화가 적극적으로 수반됐다면 ‘K-딥시크’가 나왔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제라도 정치권 관심과 함께 정부의 AI 지원책이 나오는 건 긍정적이라는 목소리도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AI 인프라 확충을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1만8000장 규모의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반도체·AI 등 육성 전략기금 50조원 조성, 중소기업도 지원
- 개정세법 영향, 올해 세수 5383억 줄어들 전망
- “마당서 암탉 키워라” 달걀값 폭등에 美 장관 내놓은 해법
- “우리가 韓 군사도 지원하는데…” 관세 이어 방위비도 비상
- “전자담배 안돼요” 말리는 점주에 끓는 냄비 던져…경찰, 추적 중
- “미국산 車만 세금 공제” 발언에… 제동 걸리는 한국車
- ‘연일 논란’ 더본코리아, 현금 배당…백종원 대표 배당금은 얼마
- [단독] 트럼프 업은 구글, 이번엔 안보 시설 위치 좌표값 수천 개 요구
- 트럼프 “韓 관세율이 美 4배, 우방이 이러고 있다”
- 제 발등 찍는 머스크?…“정치 활동 탓에 테슬라 주가 곤두박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