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삼성과 손잡고 ‘사물인터넷 기반 상용차 플랫폼’ 만든다
기아가 삼성전자와 손잡고 소상공인 등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기반 상용차 플랫폼을 개발한다.
기아는 24일(현지시간) 스페인 타라고나 ‘타라코 아레나’에서 열린 ‘2025 기아 EV(전기차) 데이’ 행사에서 ‘기아 PBV-삼성전자 IoT 솔루션 기반 B2B 사업 협력을 위한 전략적 업무 협약’을 맺었다고 27일 밝혔다.
PBV(Platform Beyond Vehicle)란 ‘목적기반 모빌리티’란 뜻이다. 기아가 최근 새로운 먹거리로 삼은 사업이다. 소상공인이 목적에 맞게 차를 주문하면 제조사가 그에 맞는 모빌리티를 제공하는 게 골자다. 승객 운송·화물 운반 등에 쓰인 기존 상용차는 제조사가 만든 일률적인 차량을 소비자가 개조해 쓰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이번 협약 체결로 기아는 자사 PBV에 삼성전자의 인공지능(AI) B2B 솔루션 ‘스마트싱스 프로(Smart Things Pro)’를 연동할 수 있게 됐다. 스마트싱스 프로는 삼성전자가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에서 선보인 중소 사업자를 위한 IoT 솔루션이다. IoT 제품 간 연결을 통해 다양한 사업장을 가진 중소 사업자들이 에너지를 절감하거나, 업무 자동화를 개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커리 매장을 운영하는 소상공인이 PBV 차량에 목적지를 '인근 도매시장'으로 입력하면 사전에 설정에 따라 ‘재료 구매 모드’가 실행된다. 구매한 재료를 신선하게 운반하도록 차량 내부 냉장시설도 자동으로 가동된다. 재료 구매를 마친 소상공인이 목적지를 매장으로 입력하면 ‘출근 모드’가 실행된다.
또 매장에 도착하기 전에 에어컨이나 오븐, 조명 등을 차량에서 작동할 수 있다. 영업을 마쳤다면 ‘퇴근 모드’를 실행한다. 미리 공조 장치를 작동한 PBV를 타고 귀가하며 매장 내부 기기 전원이 꺼진 뒤 자동으로 진행하는 보안 관리 상황도 확인할 수 있다. 기아 관계자는 “소상공인이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에 최적화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받아 업무 편리성을 높이고 영업환경 생산성도 향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IoT 기반 PBV는 내년 하반기 상용화된다. 김상대 PBV비즈니스사업부 부사장은 “PBV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어젠다”라며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통해 소비자층을 넓히겠다”고 말했다.
타라고나=이수정 기자 lee.sujeong1@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살 아들에 편지 쓰다 섬뜩한 돌변…감방 '형님'에 생긴 일 | 중앙일보
- 20여년전 김해 뒤집은 공포의 '성폭행 목사'…22년 만기출소 | 중앙일보
- 싱가포르 찾은 ‘R&A 앰버서더’ 송중기…28일 포럼에서 기조연설 맡는다 | 중앙일보
- 피 토한뒤 48시간 만에 죽었다… '이것' 먹고 한달새 53명 사망 | 중앙일보
- '할리우드 명배우' 진 해크먼, 아내와 숨진채 발견…반려견까지 왜 | 중앙일보
- 여행객 몰리는 日, 이번엔 '출국세 폭탄'…"3∼5배 인상 검토" | 중앙일보
- [단독] 與 실세 의원 아들, 강남서 '던지기'로 마약 찾다가 적발 | 중앙일보
- "숨만 쉬어도 200만원"…58년 개띠 '경조사 지옥' 해법 | 중앙일보
- 학교서 돌연 쓰러져 숨진 초등생…목에 '먹방 젤리' 껴있었다 | 중앙일보
- 딱 붙는 상의에 미니스커트…백악관 출입 '바비 기자'에 술렁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