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2.6% "국민의힘 여당 아니다"…59.4% "민주당이 대체 가능" [리얼미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이후 국민의 절반 이상이 국민의힘을 '여당이 아니다'라고 평가한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19일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전날(18일)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수행한 '탄핵소추안 가결 후 수권 정당 인식' 여론조사에서 '대통령 직무정지 기간 동안 국민의힘을 여당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응답은 52.6%, '헌법재판소 판단까지 여당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응답은 41.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뉴스24 박정민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이후 국민의 절반 이상이 국민의힘을 '여당이 아니다'라고 평가한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19일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전날(18일)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수행한 '탄핵소추안 가결 후 수권 정당 인식' 여론조사에서 '대통령 직무정지 기간 동안 국민의힘을 여당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응답은 52.6%, '헌법재판소 판단까지 여당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응답은 41.6%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이 여당이 아니라는 응답은 광주·전라(67.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천·경기(60.9%), 서울(54.8%) 등 수도권에서도 평균(52.6%)보다 높았다. 대구·경북(46%), 부산·울산·경남(38.1%)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령별로는 40대(68.2%)·50대(63.5%)를 중심으로 국민의힘이 여당이 아니라는 의견이 우세했다. 반면 70대 이상은 여당이 맞다라는 의견이 49.4%로 더 높았다.
더불어민주당이 여당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대체할 수 있다'는 의견이 59.4%, '그렇지 않다'는 의견은 39.1%로 나타났다. 대부분 지역에서 대체 가능하다는 의견이 우세한 가운데, 부산·울산·경남(가능 41.4% vs 불가능 53.1%)만 대체할 수 없다는 의견이 많았다.
민주당이 대체할 수 있다고 본 이유로는 '국민의힘 지도부 사퇴 등 정상적 임무 수행이 어려워서(40.1%)'가 가장 많았고, '의석수가 많은 원내 1당(29.9%)', '과거 집권 경험(28.3%)'이 그 다음을 차지했다. 대체할 수 없는 이유로는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63.7%)', '수권정당 역할을 제대로 못 할 거 같아서(21.1%)', '대통령이 여전히 국민의힘 소속이라서(11.9%)' 순으로 많았다.
이번 여론조사는 전국 성인 503명을 대상으로 무선(97%)·유선(3%)을 혼합한 무작위 번호 추출(RDD), 자동응답(ARS) 조사 방식으로 수행됐다. 응답률은 5.7%,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박정민 기자(pjm8318@inews24.com)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옷소매' 서효림, 1년 넘게 출연료 못 받아…1억2000만원 미지급
- "돈 낭비하고 한심" 산후조리원 3주 머물겠다는 아내가 들은 말
- 한덕수, 오늘 첫 '거부권' 행사 결단…'내란·김건희 특검법'도 임박
- "한미약품 운명 어디로"…오늘 임시주총
- "송도서 배달로봇 '빨간불'에 횡단보도 건너다 사고"…책임은?
- [여의뷰]여야, '헌법재판관 임명권 공방'의 이면
- '전람회' 출신 서동욱 모건스탠리PE 부대표, 사망…향년 50세
- 생존의 기로에 서 있는 K-반도체…공학한림원 "20년간 300조 지원해야"
- 탄핵 후 64번째 생일 맞은 尹, 한남동 관저에서 재판 준비중
- 재계, 美 대관 인력 강화...트럼프 접점 마련에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