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현대제철, 단조사업 자회사 매각 추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 기사는 2024년 10월 17일 14시 37분 조선비즈 머니무브(MM) 사이트에 표출됐습니다.
현대제철이 단조사업 자회사의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IB 업계 관계자는 "현대제철은 몇년 전에도 주관사를 선임하지 않고 단조 사업부문 매각을 추진하다 접은 적이 있는데, 최근 조선 산업이 호황을 맞으면서 단조 제품의 가격이 오르고 회사 실적이 좋아지자 다시 매각 카드를 꺼내 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2024년 10월 17일 14시 37분 조선비즈 머니무브(MM) 사이트에 표출됐습니다.
현대제철이 단조사업 자회사의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기업가치는 약 3000억~400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1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지분 100%를 보유 중인 자회사 현대IFC를 매각하기 위해 물밑에서 수요 조사에 나섰다. 매각 주관사는 삼정KPMG다.
현대IFC의 모태는 SPP그룹이 SPP조선의 자회사로 설립했던 단조 업체 SPP율촌에너지(현대제철 단조2공장)다. 2015년 법정관리에 있던 회사를 현대제철이 인수했다. 이후 현대제철은 2020년 단조사업 부문을 현대IFC로 분리해 완전 자회사로 만들었다.
시장에서는 현대IFC의 기업가치를 주가순자산비율(PBR) 1배 수준으로 보고 있다. 작년 말 자본총계(순자산)는 3253억원으로, 매각가는 3000억~4000억원에서 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IFC의 매출액은 매년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2020년 매출액이 2378억원이었으며, 지난해는 5365억원으로 늘었다. 영업이익은 197억원 수준이다.
IB 업계 관계자는 “현대제철은 몇년 전에도 주관사를 선임하지 않고 단조 사업부문 매각을 추진하다 접은 적이 있는데, 최근 조선 산업이 호황을 맞으면서 단조 제품의 가격이 오르고 회사 실적이 좋아지자 다시 매각 카드를 꺼내 든 것 같다”고 설명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매각 관련해서는 들은 바가 없고, 삼정KPMG가 현대IFC의 경쟁력 진단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덕도신공항 재입찰 시기 ‘미정’…국토부가 망설이는 세 가지 이유
- 현대로템, 수소연료전지 탑재 K3 전차 시제 개발
- [세종 인사이드아웃] ‘소비쿠폰 금액 가려라’… 공무원들 “하루 종일 스티커 붙여요” “사
- 거대 선사, 소규모 운반선 대거 교체… 韓 조선 일감 늘듯
- [IPO 뜯어보기] 조선업 호황 올라탄 에스엔시스… 순익 185억으로 몸값 2800억원 정조준
- ‘김정규 회장 법정구속’ 에어프레미아, 다시 매물로 나올 가능성은
- 3기 신도시 수주 나선 중견 건설사들… “리스크 적고 분양도 안정적”
- [금융포커스] OK저축은행 ‘연 10%’ 적금에 짠테크족 뿔난 이유는
- 위기의 K- 제조업 구하라⋯정부·재계·국회 “피지컬AI”
- [공정위 핫이슈] ‘스드메’ 가격 숨기면 과태료 1억?… 고시 개정 팔 걷은 공정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