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G가 전세보증 내준 빌라, 10곳 중 7곳은 ‘깡통주택’
2017년 담보인정비율 상향 후
‘무자본 갭투기’ 우후죽순 성행
시민단체 “보증 한도 더 낮춰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을 발급해준 빌라 10곳 중 7곳은 전세금이 집값의 80%에 달하는 ‘깡통 주택’인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가 7년 전 ‘임차인 보호’를 이유로 보증 가입 기준을 대폭 완화한 결과로, HUG의 자금 사정을 고려할 때 전세보증제도를 개편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경향신문이 16일 손명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HUG에서 확보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부터 올해 9월까지 연립·다세대 주택에 발급된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은 총 26만7942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부채비율(집값 대비 전셋값 비율)이 80%를 넘는 보증이 18만1972건(67.9%)이었다. HUG가 보증해준 빌라·다세대 주택 10곳 중 7곳은 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할 위험이 높은 깡통 주택이라는 뜻이다.
깡통 오피스텔에 발급된 보증도 늘었다. 같은 기간 오피스텔에 발급된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총 21만7726건 중 부채비율 80% 이상인 경우는 13만1837건(60.6%)이었다.
깡통 빌라·오피스텔의 보증 가입이 늘어난 건 2017년 2월 정부가 ‘임차인 보호’를 이유로 모든 주택 유형의 담보인정비율을 100%로 일괄 상향하면서다. 이때부터 빌라·오피스텔까지 HUG 보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2017년 4311건에 불과했던 깡통 빌라 보증 발급 건수는 부동산 가격이 오르던 2021년 3만6383건으로 8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정부의 보증 확대는 ‘무자본 갭투자’를 양산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는 2022년을 기점으로 가격 거품이 꺼지자마자 대규모 보증금 미반환 사태를 촉발했다. 이에 따라 2017년부터 올해 9월까지 HUG가 집주인 대신 갚아준 전세보증 대위변제금액만 8조7941억원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전세보증제도를 개편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해 반환보증 한도를 100%에서 90%로 한 차례 낮췄으나 시민단체는 이를 60%까지 더 낮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심윤지 기자 sharps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년여 전보다 재산 늘어난 윤석열·김건희, 4월 파면 시점 80억원 신고
- 미 상무 “한국, 일본 합의 보고 욕 나왔을 것”···김정관 산업장관과 협의는 예정대로
- 이준석도, 기자도 속았다···‘하버드 나온 외신기자’ 사칭한 남성 입건
- 트럼프, 일본 1%P 깎을 때마다 대가 요구…베선트 “약속 안 지키면 다시 관세 25%로”
- 최고 38도···이번 주말은 ‘이불 두 겹에 전기장판 깐 날씨’
- “천국으로 유학 간 지 1000일”···이태원 참사 1000일 추모의 밤에 모인 마음들
- “엄마의 성 물려주는 것도 자연스러운 세상 되길”···이설아 대표의 ‘부성우선주의’ 헌법
- 이 대통령, ‘지게차 괴롭힘’ 사건에 “눈을 의심···명백한 인권유린”
- 부산대, 세계 최대 인공지능 로봇대회 ‘역대 최고점’ 우승
- ‘좀비딸’로 선보이는 조정석표 코미디 “연기하며 부성애 발견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