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한풀 꺾이나…유행 정점 지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재유행이 정점을 지나면서 향후 입원환자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달 18일~24일 34주차 코로나19 입원환자 수는 1천16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주 1천464명 대비 20.5%(300명) 감소한 수치다.
최근 4주간 주차별 입원환자 수 변화는 ▲7월 28일~8월 3일 880명 ▲8월 4일~10일 1천366명 ▲11일~17일 1천464명 ▲18일~24일 1천164명 등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김양균 기자)코로나19 재유행이 정점을 지나면서 향후 입원환자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달 18일~24일 34주차 코로나19 입원환자 수는 1천16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주 1천464명 대비 20.5%(300명) 감소한 수치다. 최근 4주간 주차별 입원환자 수 변화는 ▲7월 28일~8월 3일 880명 ▲8월 4일~10일 1천366명 ▲11일~17일 1천464명 ▲18일~24일 1천164명 등이다.
전체 입원환자 수 1만6천407명 중 65세 이상이 65.9%(1만820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세~64세 18.0%(2천961명) ▲19세~49세 10.0%(1천638명)의 순이다. 소아·청소년의 경우 ▲0세~6세 4.0%(655명) ▲7세~18세 2.0%(333명) 등이로 나타났다.
질병청은 여름철 코로나19 유행은 정점을 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발생 규모도 당초 예상한 주간 최대 35만 명보다 낮은 20만 명 이내로 발생하였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후 감소세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는 33주(11일~17일) 기준 오미크론 KP.3의 점유율이 전주보다 7.8%p 더 증가한 64.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세계보건기구(WHO) GISAID에 따르면, 글로벌 KP.3 발생은 전달 48.5%에서 이달 17일 기준 51.7%로 증가 추세가 확인됐다.
KP.3의 특성에 대해 질병청은 국제학술지 란셋(Lancet), 유럽 질병예방통제센터(ECDC), WHO 등의 연구와 보고를 인용해 “면역회피능의 소폭 증가는 확인되나, 현재까지 중증도 증가와 관련된 보고는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질병청 관계자는 자체 연구 등의 조사결과는 “없다”고 밝혔다.
김양균 기자(angel@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현장] "대기업 밀어주기? NO"…국가대표 AI, '무빙타깃' 평가로 생존게임 돌입
- [국가대표 AI] "실망하긴 이르다"…정부, 이달 말 '특화 AI' 사업자 선정 또 나설 듯
- APEC 디지털·AI 장관선언문 채택...21개국 정책협력 합의 도출
- 사람 없어도 OK…로봇배달, 물류 주체로 시장 커진다
- 김성환 환경부 장관 "전기차 보조금 승용 기준 점유율 30% 될 때까지 지원"
- "소비쿠폰 '제발' 은행원에게 묻지말라구요?"
- 압력밥솥 외교로 위기를 넘자
- [보안 리딩기업] 티오리 "국내 최고요? 세계최고 해커들이 모여있습니다"
- [ZD SW 투데이] 수세, 포레스터 웨이브 보고서 '리더' 선정 外
- 챗GPT에 "슬프다"고 했더니…거짓말 75% 더 많이 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