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 552조원까지 커진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세계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이 연평균 32% 성장해 2030년에는 4182억달러(약 552조원)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6일 에너지 분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의 '2024 전기차 충전 인프라-글로벌 트렌드와 시장 전망 (~2030)'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충전 인프라 시장은 2018년 90억 달러(약 11조원)에서 2022년 441억달러(약 58조원)로 확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2년 441억 달러→2030년 4182억 달러
전기차 캐즘·화재사고가 변수로 작용
전세계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이 연평균 32% 성장해 2030년에는 4182억달러(약 552조원)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6일 에너지 분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의 '2024 전기차 충전 인프라-글로벌 트렌드와 시장 전망 (~2030)’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충전 인프라 시장은 2018년 90억 달러(약 11조원)에서 2022년 441억달러(약 58조원)로 확대했다. SNE리서치는 이 시장이 연평균 32% 성장해 2030년에는 4182억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SNE리서치는 한국 충전 인프라 시장 규모는 2022년 11억 달러(약 1조4500억원)에서 2030년에는 224억 달러(약 29조원)로 확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연평균 45%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 것이다. SNE리서치는 전기차 보급 확대, 정부의 적극적 지원정책, 주요 도시의 충전소 설치 증가를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최근의 전기차 캐즘 상황과 화재 사건은 충전 인프라 시장에도 변수가 될 전망이다. SNE리서치는 "캐즘을 넘지 못하거나 화재 사건이 지속된다면 전기차 보급률의 둔화와 함께 충전 인프라 시장의 성장 속도도 예상보다 느려질 수 있다"며 "전기차 제조사 및 충전 인프라 공급 업체는 더 나은 안전성을 제공하는 배터리 기술 개발, 충전 속도 개선,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한 마케팅 전략 강화가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규제 강화도 충전 인프라 확대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덧붙였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유부남 CEO 이어 女임원도… '콘서트장 불륜' 비극적 결말 - 아시아경제
- "한국으로 망명"…김정은 이복형 '김정남' 피살 세 달 전 권유받아 - 아시아경제
- "개 밥이냐, 사람 밥이냐"…대치동 강사 해석에 '문해력 논란' 퍼지자 국어원까지 등판 - 아시아
- "이건 내 OO지원금, 쟁여놨지" 히죽…소비쿠폰에 불티나는 건 따로 있네 - 아시아경제
- 이 생리대 쓰고 수십명 암 걸렸다...'차 성분' 넣었다며 192억 벌어간 中제품의 배신 - 아시아경제
- 깔끔 떤다고 자주 빨았던 행주, 100℃ 끓는 물 아니면 세균 드글…"일회용 쓰세요" - 아시아경제
- 분홍치마 그림 위에 '음란 낙서'…여성전용 주차구역 두고 스페인서 성차별 논란 - 아시아경제
- 대통령실 "기자단에 유튜버 출입 사실 아냐, 보수매체도 가능" - 아시아경제
- "며느리·손주도 노려"…아들 총격 살해범 살인미수 혐의 추가 - 아시아경제
- "세금 들여 왜저리 촌스럽게"…'한 번 정하면 10년' 새 경찰복 두고 와글와글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