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황제' 다이먼 "美 경기침체 아냐…향후 침체 확률 60%"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월가의 황제'로 불리는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체이스 회장이 미국 경제가 연착륙 달성보다 경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기존 전망을 재확인했다.
다이먼 회장은 7일(현지시간)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시장이 경기 침체 위험과 관련해 너무 낙관적이라는 기존 입장을 바꿨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전과 확률이 거의 비슷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월가의 황제'로 불리는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체이스 회장이 미국 경제가 연착륙 달성보다 경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기존 전망을 재확인했다. 다만 아직 침체 국면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다이먼 회장은 7일(현지시간)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시장이 경기 침체 위험과 관련해 너무 낙관적이라는 기존 입장을 바꿨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전과 확률이 거의 비슷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미 경제가 연착륙에 성공할 가능성은 이전과 같은 35~40%로 본다고 말했다. 이는 앞으로 연착륙 보다 침체에 빠질 확률이 더 높다는 전망에 무게를 싣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이먼 회장은 지난 4월 인터뷰에서도 미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과 관련해 시장은 70% 정도의 확률로 보고 있지만, 자신은 그 절반 정도로 본다고 밝힌 바 있다.
다이먼 회장은 "불확실성이 크다"며 "내가 항상 지적한 대로 지정학, 주택, (재정)적자, 지출, 양적 긴축, 선거 등 이 모든 것들이 시장에 당혹감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신용카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으나, 미국이 아직 경기 침체에 진입한 상태는 아니라고 진단했다.
그는 향후 인플레이션 전망과 관련해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목표치인 2%로 되돌릴 수 있을 지는 "다소 회의적"이라며 친환경 경제 전환과 국방비 지출 등으로 물가가 반등할 수 있다는 전망을 재차 확인했다.
다이먼 회장은 이어 "우리가 완만한 경기침체, 또는 더 강력한 경기침체를 겪더라도 괜찮을 것이라고 전적으로 낙관한다"고 말했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인 매일 먹는 건데?"…암·혈압·당뇨 다 잡는다는 '이것' - 아시아경제
- "솔로몬이 따로 없네"…이혼 재산분할 중 남은 '닭 1마리' 나눈 판사의 지혜 - 아시아경제
- "또 중국에서 전염 시작" 전세계 비상 걸렸다…치료제도 없다는 '이 전염병' - 아시아경제
- "실수령액 4826만여원…월급이 연봉급" 믿기지 않는 SK하이닉스 월급명세서 - 아시아경제
- 냉기 아까워 에어컨 켜고 한 '이 행동'…단 3분 만에 목숨 잃을 수 있다 - 아시아경제
- 매달 745만원 버는데도 기초연금 '따박따박'…결국 대대적 검증 나선다 - 아시아경제
- "색상 상관 없어요, 99만원에 구해요"…'품절대란' 부른 '90년대 대유행템' - 아시아경제
- "챗GPT로 120만원 아꼈어요"…항공권 예매 무슨 수 썼길래 - 아시아경제
- "불륜대국이라니 믿을 수 없어"…의외의 결과에 '화들짝' 놀란 태국 - 아시아경제
- "데이트에 한 푼도 안 써요"…'연애는 사치' 출산율 하락 경고등[세계는Z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