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유도 새 역사! 김민종, '日 전설 아들'에 한판승→최중량급 최초 결승행...'女 +78kg' 김하윤, 동메달 쾌거[파리올림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유도의 역사가 새로 탄생했다.
'세계 랭킹 1위' 김민종은 2일 오후(한국시간) 프랑스 파리 샹 드 마르스 아레나에서 열린 2024 파리 올림픽 유도 남자 100kg 이상급 준결승전에서 사이토 다쓰루(일본)를 업어치기 한판승으로 꺾고 결승에 올랐다.
한국 유도는 지금까지 역대 올림픽 최중량급에서 동메달이 최대 성적이었다.
김하윤은 동메달을 목에 걸면서 한국 선수로는 역대 두 번째로 올림픽 여자 최중량급 메달 획득자가 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OSEN=고성환 기자] 한국 유도의 역사가 새로 탄생했다. 김민종(24, 양평군청)이 올림픽 결승에 진출하며 포효했다.
'세계 랭킹 1위' 김민종은 2일 오후(한국시간) 프랑스 파리 샹 드 마르스 아레나에서 열린 2024 파리 올림픽 유도 남자 100kg 이상급 준결승전에서 사이토 다쓰루(일본)를 업어치기 한판승으로 꺾고 결승에 올랐다.
이로써 김민종은 은메달을 확보했다. 그러면서 한국 유도 최초로 최중량급 결승 진출이라는 역사를 썼다. 한국 유도는 지금까지 역대 올림픽 최중량급에서 동메달이 최대 성적이었다. 조용철이 1984년 로스앤젤레스(LA) 대회, 1988년 서울 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고, 2000년 시드니 대회에서 김선영이 동메달을 따낸 바 있다.
김민종은 시원한 업어치기로 한판승을 따냈다. 그는 경기 종료 1분 15초를 넘기고 주특기인 업어치기로 사이토를 무너뜨리며 결승 티켓을 거머쥐었다. 사이토는 1984 LA 올림픽과 1988 서울 올림픽 최중량급(95kg이상급)에서 2연패를 달성한 사이토 히토시의 아들이지만, 김민종 앞에선 제대로 힘을 쓰지 못했다.
이제 김민종은 결승 무대에서 '프랑스 전설' 테디 리네르와 금메달을 걸고 맞붙는다. 1989년생 리네르는 세계선수권 역대 최다 우승(11회)을 기록 중인 선수로 역대 최고 반열에 오른 전설이다.
하지만 지금은 김민종이 세계 랭킹 1위, 올림픽 랭킹 1위다. 그는 지난해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100kg 이상급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었고, 지난 5월엔 세계선수권대회 금메달을 차지하며 랭킹 1위로 올라섰다. 한국 남자 최중량급 선수가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한 건 39년 만이었다.
김민종은 이제 1승만 더하면 한국 유도의 '노골드'를 끊어내게 된다. 한국 유도의 올림픽 금메달은 지난 2012 런던 올림픽 김재범과 송대남의 금메달이 마지막이다. 2016 리우(은2·동1), 2020 도쿄(은1·동2) 대회에서는 은메달이 최고 성적이었다.
이번 대회에서도 아직 금메달은 없다. 지난달 29일 여자 57kg급에서 허미미(경상북도체육회)가 은메달을 목에 걸었고, 30일엔 남자 81㎏급 이준환(용인대)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한편 김민종의 결승 진출에 이어 또 하나의 낭보가 들려왔다. 김하윤이 여자 78kg 이상급 동메달 결정전에서 랭킹 3위 카이라 오즈데미르(튀르키예)를 한판승으로 꺾고 동메달을 차지한 것.
랭킹 4위 김하윤은 8강에서 아쉽게 탈락했다. 그는 랭킹 5위 베아트리스 소자(브라질)를 만나 골든 스코어 끝에 절반패하고 말았다. 김하윤은 연장에서 빠르게 공격에 나섰고, 처음엔 그의 안다리걸기 한판승이 선언됐다. 하지만 판독 결과 소자의 절반으로 번복되면서 김하윤이 아닌 소자가 승자가 됐다.
김하윤은 여기서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패자부활전에서 라리사 체리치(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를 상대로 안다리후리기 절반승을 거두며 동메달 결정전에 올랐다. 그리고 오즈데미르를 허벅다리걸기 절반에 이은 누르기 한판승으로 무너뜨리며 시상대에 오르게 됐다.
김하윤은 동메달을 목에 걸면서 한국 선수로는 역대 두 번째로 올림픽 여자 최중량급 메달 획득자가 됐다. 김하윤 전까지 여자 최중량급 올림픽 메달리스트는 김선영(2000년 시드니 대회 동메달)이 유일했다. 24년간 끊겼던 메달 명맥을 이은 김하윤이다.
/finekosh@osen.co.kr
Copyright © OS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