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단체 "강화도서 전단 30만장·K팝 USB 2천개 北으로 보내"(종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탈북민단체 자유북한운동연합은 인천 강화도에서 대북전단을 대형풍선에 매달아 북한으로 보냈다고 13일 밝혔다.
이 단체 박상학 대표는 이날 연합뉴스에 "지난 10일 오후 11시께 대북전단 30만장과 K-POP·트로트 동영상 등을 저장한 USB 2천개를 대형풍선 20개에 매달아 보냈다"며 영상을 공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천·서울=연합뉴스) 김상연 하채림 기자 = 탈북민단체 자유북한운동연합은 인천 강화도에서 대북전단을 대형풍선에 매달아 북한으로 보냈다고 13일 밝혔다.
이 단체 박상학 대표는 이날 연합뉴스에 "지난 10일 오후 11시께 대북전단 30만장과 K-POP·트로트 동영상 등을 저장한 USB 2천개를 대형풍선 20개에 매달아 보냈다"며 영상을 공개했다.
대형풍선에 달린 현수막에는 "김정은, 이자야말로 불변의 역적, 민족의 원수일 뿐"이라는 문구가 쓰여 있었다.
박 대표는 "김정은은 한반도 통일을 막고 영원히 군림하겠다는 망상을 드러냈다"며 "현대판 노예로 전락한 북한 동포들을 위해 대북전단을 보낸다"고 전했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정부 입장에 관한 질문에 "전단 등 살포 문제는 표현의 자유 보장이라는 헌법재판소 결정의 취지를 고려하여 접근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전단 살포에 따른 접경지 주민 안전 우려에 관해선 "필요한 경우 현장 사정 등을 고려해 관련 법령 등에 따라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상황에 따라 경찰이 단체에 대한 행정지도에 나설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작년 9월 헌법재판소의 대북 전단 금지법 위헌 결정 이후 통일부의 대북 전단 관련 입장에서 '자제 요청' 표현이 사라졌다.
앞서 통일부는 2020년 대북전단 살포 행위가 접경지역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고 한반도 긴장을 초래한다는 이유로 자유북한운동연합의 설립 허가를 취소했다.
이에 이 단체는 통일부 장관을 상대로 설립 허가 처분 취소를 요구하는 소송을 냈고, 법원은 지난해 설립 허가 취소는 부당하다며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goodluck@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40대 배우, 자택서 아내 폭행으로 가정폭력 신고당해 | 연합뉴스
- [쇼츠] "내 몸 만지지 마!"…대왕오징어의 분노 | 연합뉴스
- 어도어-뉴진스 공방 끝날까…법원 조정 시도, 민지·다니엘 출석(종합) | 연합뉴스
- "바다 보고 싶다" 탈영한 육군 훈련병 부산 광안리서 체포 | 연합뉴스
- 10대까지 가담…'젊은피'로 재건 노린 '신남부동파' 경찰에 철퇴 | 연합뉴스
- [쇼츠] 인증샷이 뭐길래…코끼리에 밟힌 관광객 | 연합뉴스
- 전처에 복수하려 아들 가족 몰살 시도…사제총기 살해범 기소(종합) | 연합뉴스
- 인천해경, 해변서 길 묻는 60대 무차별 폭행한 20대 구속 | 연합뉴스
- 중학교 씨름부 감독, 삽으로 선수 폭행…"폭력 대책 발표하라" | 연합뉴스
- 인천공항 내린 줄 알았더니 김포…놀란 승무원도 승객에 되물어(종합)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