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1인당 지역내총생산 4만달러 첫 돌파
사업체 많은 지역이 수치 높아
성장률은 성동구가 최고 기록
서울시민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이 4만달러를 처음 돌파했다. 서울 자치구별 GRDP는 강남구가 가장 컸으며, 성동구 성장률이 가장 높았다.
서울시가 21일 발표한 ‘서울특별시 GRDP 보고서’를 보면, 2021년 한 해 동안 서울에서 생산한 모든 재화·서비스를 시장가치로 평가한 GRDP가 472조400억원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의 22.7%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서울의 경제성장률은 3.4%로 전년도 성장률(0.9%)보다 2.5%포인트 높아졌다. 전국 경제성장률(4.3%)보다는 0.9%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 서울시민 1인당 GRDP는 4968만원으로 전년보다 346만원 증가했다. 이를 기준환율(1달러=1144.61원)로 평가한 1인당 GRDP는 4만3404달러다. 전년 대비 4234달러 늘어난 것으로, 사상 처음으로 4만달러를 넘어선 것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1인당 국내총생산(3만5128달러)과 비교하면 8276달러 높은 수준이다.
자치구별 규모는 강남구가 77조9240억원으로 가장 컸다. 이어 중구(61조3427억원), 영등포구(44조2659억원), 서초구(38조3357억원) 순이었다. 가장 규모가 작은 자치구는 강북구(3조4630억원)였다.
전년 대비 성장률은 성동구(10.9%), 영등포구(7.2%), 강서구(6.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성장률이 가장 낮은 자치구는 동작구(-1.4%)였다. 성동구의 경우 도매 및 소매업(29.0%)과 운수 및 창고업(27.1%) 성장률이 높았다.
자치구별 1인당 GRDP 규모는 중구(4억8140만원), 종로구(2억3860만원), 강남구(1억5536만원)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은평구(1114만원)는 1인당 GRDP가 가장 적었다. 서울시는 1인당 GRDP의 경우 주거인구가 적고 사업체 밀집도가 높은 지역이 높게 나타나며 소득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성희 기자 mong2@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선 코앞’ 문재인 전 대통령 기소…검찰, 당사자 조사도 없이 “뇌물 공범”
- [속보]‘경북 산불’ 피의자 2명 구속영장 기각···“도망·증거 인멸 소명 부족”
- “폭행치상 전혀 없다”던 김문수, 토론회 직후 ‘정정 자료’···이재명 사례 의식했나
- 농구교실 1억8000만원 횡령·배임···강동희 전 프로농구 감독 징역 1년 2개월
- [속보]‘성소수자 축복’ 이후 2년 정직 징계받은 이동환 목사, 항소심도 패소
- ‘공군기지 무단 촬영’ 중국인들, 석방 이틀 만에 또 군사시설 찍다 적발
- 문중원 기수 죽음 내몬 ‘마사회 비리’…6년 만에 유죄 확정
- ‘안보’ 이유로…증인 신문도 공개 안 하는 ‘내란 공범 재판’
- 이재명 싱크탱크 ‘성장과통합’ 내부 주도권 다툼에 와해 위기
- [단독] “의대생 문제는 일단 주호랑 빨리 해결해야”···메디스태프에 ‘의대생 복귀’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