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4년간 우리나라 해수면 10.3㎝ 상승…"재난 피해 위험도 높아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립해양조사원이 21개 연안 조위관측소의 해수면 높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34년(1989년~2022년) 동안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이 매년 3.03㎜씩 높아져 총 평균 10.3㎝ 가량 상승했다고 19일 밝혔다.
해양조사원은 기후변화 영향을 확인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인 '해수면 장기 변동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2009년부터 매년 연안 조위관측소 수집자료를 통계화해 해수면 상승률을 발표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산=뉴스1) 권영지 기자 = 국립해양조사원이 21개 연안 조위관측소의 해수면 높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34년(1989년~2022년) 동안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이 매년 3.03㎜씩 높아져 총 평균 10.3㎝ 가량 상승했다고 19일 밝혔다.
해양조사원은 기후변화 영향을 확인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인 '해수면 장기 변동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2009년부터 매년 연안 조위관측소 수집자료를 통계화해 해수면 상승률을 발표하고 있다.
1989년부터 2022년까지 34년간 해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동해안이 연 3.44㎜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서해안(연 3.15㎜), 남해안(연 2.71㎜) 순으로 나타났다. 관측지점별로 보면 울릉도가 연 5.31㎜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군산(연 3.41㎜), 포항(연 3.34㎜), 보령(연 3.33㎜), 속초(연 3.23㎜) 순이었다.
또 최근 해수면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지난 30년(1993년~2022년)간 평균 해수면 상승률(연 3.41㎜)과 최근 10년(2013년~2022년)간 평균 해수면 상승률(연 4.51㎜)을 비교해 보니, 최근 10년간 약 1.3배 정도 해수면 상승률이 높아 최근 해수면 상승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양조사원 관계자는 "기후변화로 인해 해수면이 지속 상승하고 있다"면서 "이렇게 해수면이 계속 높아지면 태풍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침수와 같은 피해가 날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고 말했다.
한편 김재철 해양조사원장은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에 대한 장기 분석자료가 연안관리 및 기후변화 대응 정책 추진에 중요한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해수면 변동 분석 연구를 차질없이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0zz@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조선대 신입생 MT서 '입에서 입' 러브샷…성희롱 발언도
- "성욕 채우려고"…우체국 여직원에 '썼던 콘돔' 담긴 봉투 보냈다
- 도봉역서 벤츠 난동 아찔…경찰차 뚫고 가려고 앞뒤로 쾅쾅쾅[영상]
- 드럼통 들어간 나경원 "이재명, 아프긴 아팠나 봐…그가 되면 그 공포는"
- '학폭 재판 노쇼' 권경애 "내 잘못 알려졌으니 9천만원 못줘" 손배 거부
- 애인과 싸우다 '격분'…가스 불로 강아지 태운 20대 남성 체포
- '30년간 외도' 이승연 아빠 "난 여복 강해, 하자는 대로 따라간 것"
- "놀 시간 얼마 없다"…제자들에게 회장님 술 접대시킨 교수, 결국 해임
- 샤이니 태민, 노제와 백허그? 온라인발 열애설…소속사 "확인 중"
- 순돌이 이건주, 44년만에 친모 찾고 "무당 촉 맞았다"…가족증명서에 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