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집 제거 애먹던 소방관이 직접 드론 개발…"안전하고 효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 고성군의 한 소방관이 국내서 처음으로 벌집 제거 드론을 개발해 실제 현장에 활용하면서 눈길을 끈다.
경남 고성소방서 거류 119안전센터에서 근무하는 이근출 소방위는 지난해 9월부터 벌집 제거에 활용할 수 있는 드론 제작에 들어가, 지난 6월 완료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남 고성=연합뉴스) 이준영 기자 = 경남 고성군의 한 소방관이 국내서 처음으로 벌집 제거 드론을 개발해 실제 현장에 활용하면서 눈길을 끈다.
경남 고성소방서 거류 119안전센터에서 근무하는 이근출 소방위는 지난해 9월부터 벌집 제거에 활용할 수 있는 드론 제작에 들어가, 지난 6월 완료했다.
이 드론은 전면부에 달린 약 1m 길이의 노즐을 통해 약물을 분사하는 방식이다.
아파트 10층 높이 이상을 날 수 있어 소방대원의 힘이 닿기 힘든 곳까지 수월하게 벌집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소방위는 매년 벌집 제거 출동 건수가 많고, 나무 깊숙한 곳이나 고층 아파트 벽면 같은 곳은 제거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사고 위험도 커 드론을 직접 개발하게 됐다.
경남소방본부에 따르면 벌집 제거 출동 건수는 2021년 2만1천594건, 2022년 1만8천333건으로 매년 1∼2만건씩 발생한다.
이 소방위는 "벌집을 제거하려면 안전 장비를 착용하고 높은 사다리를 이용해 작업하는데 여름엔 한 번 작업하고 나면 땀이 뻘뻘 난다"며 "이 과정에서 사고 날 수도 있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작업하기 위해 드론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사비를 들여 제작과 특허 출원까지 하느라 비용도 만만찮게 들었지만, 그 효과는 좋다.
지난 27일 오전 11시께에는 경남 고성군 동해면 외곡리 한 야산 소나무 위에 달린 벌집을 드론으로 안전하게 제거했다.
이곳은 산 입구에서부터 약 200m 지점이라 소방차가 접근할 수 없고 나무 높이도 약 15m로 높아 구조사다리로 작업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 소방위는 현재 벌집 제거에 쓰는 이 드론을 앞으로는 기능을 추가해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 소방위는 "이 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소방 활동이 분명히 있을 것"이라며 "더 고민해 양질의 서비스를 시민들에게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ljy@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광복절 특사 발표에 비판 잇따라…"사회적 논란·여론 분열" | 연합뉴스
- 유시민, '강선우 갑질 의혹' 제기 보좌관에 "일 못해 잘려" 주장 | 연합뉴스
- "살지도 않으면서"…오세훈, 외국인 주택매입 규제 검토 지시 | 연합뉴스
- 런던 심장부에 중국 초대형 대사관…주민들 "사생활 위협" 반발 | 연합뉴스
- 대전 교제살인 피의자는 26세 장재원…경찰, 신상 공개 | 연합뉴스
- 英배우 에마 톰슨 "트럼프가 27년 전 데이트 신청했다" | 연합뉴스
- 미성년자 9차례 성폭행한 충주시 공무원…나이 속여 접근 | 연합뉴스
- 어린이집서 백설기 먹던 2살 질식사…담임교사·원장 송치 | 연합뉴스
- 또 낙서로 얼룩진 경복궁…매직으로 '트럼프' 쓴 70대 붙잡혀(종합2보) | 연합뉴스
- '동네 빌런' 저커버그…저택 11채 사들여 '그들만의 왕국' 건설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