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뒤 '투모로우' 같은 재앙 온다"…연구 결과에 '술렁'

김인엽 2023. 7. 26. 11: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구 열 순환을 돕는 대서양 해류가 이르면 오는 2025년 멈춰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파이낸셜타임즈(FT)에 따르면 코펜하겐대학교 연구진은 대서양자오선역전해류(AMOC)가2025년부터 2095년 사이에 멈출 것이며 2050년대에 그럴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연구결과를 25일(현지시간) 네이처지를 통해 발표했다.

3년 뒤 독일 포츠담 기후영향연구소는 AMOC가 완전히 붕괴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5~2095년 사이 대서양 해류 멈춘다"
코펜하겐대 연구진 연구결과 발표
지구온난화로 빙하 녹아 염도차 줄어
적도~북미~북극 순환 해류 약해져
북미엔 극한추위, 적도 인근엔 폭염
올 여름 폭염, '탄소배출 결과' 연구도
"지구온난화 없었으면 안 일어났을 것"

지구 열 순환을 돕는 대서양 해류가 이르면 오는 2025년 멈춰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금세기 안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기존 과학계의 관측보다 시기가 훨씬 앞당겨진 것이다. 북미·유럽에는 혹독한 추위가 찾아오고 열대 지방은 더 더워지는 기후 재앙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구 온도 조절 '컨베이어벨트' 멈춘다

파이낸셜타임즈(FT)에 따르면 코펜하겐대학교 연구진은 대서양자오선역전해류(AMOC)가2025년부터 2095년 사이에 멈출 것이며 2050년대에 그럴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연구결과를 25일(현지시간) 네이처지를 통해 발표했다.

AMOC는 카리브해 인접 열대 지방의 따뜻한 물이 온도·염도 차에 따라 북미 연안을 거쳐 북극 방면으로 이동해 차가워진 뒤, 심해로 가라앉아 다시 적도 쪽으로 돌아오는 해류 순환 현상을 말한다. 지구 남반구에선 '남극역전순환'이, 북반구에선 AMOC가 대표적인 해류 순환이다. 이들은 지구 온도를 조절하는 컨베이어 벨트같은 역할을 한다. 

대서양자오선역전해류(AMOC)는 카리브해 쪽 열대지방의 따뜻한 물이 북미 연안을 거쳐 북극 방면에 도달해 차가워진 뒤 다시 적도 인근으로 되돌아오는 해류 순환 현상을 말한다. /네이처


과학계에서는 기후온난화로 인해 AMOC의 강도가 약해지고 있다는 목소리를 내왔다. 영국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연구팀은 2018년 AMOC가 1600년 만에 가장 약하고 느린 상태라고 보고했다. 3년 뒤 독일 포츠담 기후영향연구소는 AMOC가 완전히 붕괴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북극 빙하가 녹아 북대서양 염도가 낮아졌고, 그 결과 해류의 강도가 약해졌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AMOC 중단 시기를 훨씬 앞당겨 예고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받고 있다. 앞서 유엔(UN) 기후위기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금 세기 내에 AMOC가 멈출 가능성은 낮다고 발표한 바 있다. 코펜하겐대 연구진은 과거 기후 기록과 염분 및 빙하 유출 등에 대한 잘못된 데이터로 인해 기존 연구가 AMOC의 안정성을 과대평가했다고 지적했다. 

AMOC 중단은 기후 변화가 기후 재앙으로 넘어가는 전환점으로 꼽힌다. 대서양 해류 순환이 멈추면 유럽과 북미 지역에는 극한 추위가, 적도 인근에는 폭염이 찾아오고 인도·남미·서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몬순 계절풍이 교란될 수 있다. 지구의 자정작용이 무너질 수 있다는 얘기다. 지구 전체가 빙하로 뒤덮이는 이야기를 다룬 영화 '투모로우'가 AMOC가 멈추는 상황을 가정했다. 

일각에서는 연구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평가도 나온다. 연구팀이 활용한 1870년부터 2020년 사이의 데이터가 부정확하다는 이유에서다. 레브케 시저 브레멘대학교 박사후연구원은 "이러한 기록은 신중한 조정 없이 세밀한 통계 분석에 사용하기에는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지구온난화 없었으면 폭염도 없었을 것"

올 여름 전세계를 덮친 폭염은 인간이 초래한 지구온난화의 여파라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이날 세계기상기여도그룹은 이달 들어 북반구에서 발생한 폭염이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화석연료 배출로 인해 지구의 평균 기온이 화씨 2도 올라간 결과라는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기후온난화가 발생하지 않은 12가지 기후 모델을 가상 실험한 결과 이번 달 미국·멕시코·남부 유럽에 발생한 폭염은 지구 온난화가 없었다면 사실상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결론내렸다.

연구진은 이러한 폭염이 미국과 멕시코, 남유럽에서는 15년에 한 번, 중국에서는 5년에 한 번 드물게 발생했으나, 앞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계속 늘어남에 따라 이러한 현상이 빈번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