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포토] '드러누워버린 건물, 그 안에 사람이 있을텐데…'

전명훈 2023. 2. 8. 1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울부짖는 주민의 얼굴이나 피해자의 혈흔은 보이지 않지만, 멀리 하늘에서 내려다본 튀르키예 대지진의 현장 사진에도 그 끔찍함은 그대로 담겼습니다.

외신들은 7일(현지시간) 지진 피해가 컸던 튀르키예 하타이주, 시리아 이들립주 등의 곳곳을 위성·드론·항공기 등으로 촬영했습니다.

튀르키예를 84년 만에 강타한 규모 7.8의 지진.

비교적 높은 건물이 촘촘하게 들어선 튀르키예 하타이에서 블록 하나가 거의 통째로 붕괴한 모습도 포착됐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대로 넘어져 폐허가 된 튀르키예 하타이주의 한 건물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울부짖는 주민의 얼굴이나 피해자의 혈흔은 보이지 않지만, 멀리 하늘에서 내려다본 튀르키예 대지진의 현장 사진에도 그 끔찍함은 그대로 담겼습니다.

외신들은 7일(현지시간) 지진 피해가 컸던 튀르키예 하타이주, 시리아 이들립주 등의 곳곳을 위성·드론·항공기 등으로 촬영했습니다.

위성사진으로 본 지진 전(위 사진)과 후. 7일 상업위성업체 맥사(MAXAR)가 촬영한 아래 사진 왼쪽에는 거의 한 블럭 건물이 통째로 주저앉은 모습이다.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튀르키예를 84년 만에 강타한 규모 7.8의 지진. 그 위력은 상상을 뛰어넘었습니다.

위성사진에서는 지진이 발생하기 전과 후가 극명히 대비됩니다.

비교적 높은 건물이 촘촘하게 들어선 튀르키예 하타이에서 블록 하나가 거의 통째로 붕괴한 모습도 포착됐습니다.

튀르키예 남부 하타이주의 한 중심가 모습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하타이주의 도시 중심가에서 성한 건물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대다수가 완전히 무너졌고, 남은 건물도 한쪽으로 기우는 등 위태로운 모습이 대부분입니다.

도미노처럼 쓰러져버린 튀르키예 하타이 강변 아파트 건물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주저앉은 건물에는 당연히도 사람이 있었습니다.

한국시간 8일 오후 3시를 기준으로 튀르키예의 사망자 수만 6천200여명에 이릅니다. 인접국 시리아의 사망자 수 2천500여명을 더하면 이번 지진으로 총 8천700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됩니다.

화재까지 발생한 지진 하타이 지진 피해 현장 현장 구조대원들은 추가 건물 붕괴, 가스 누출과 폭발, 누전 등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무너진 건물 잔해에 아직도 얼마나 많은 사람이 있을지 예측조차 하기 어렵습니다.

사망자 수가 늘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최대 2만 명을 넘어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하타이 이스켄데룬 항구의 콘테이너에서 치솟는 불길과 연기기둥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약 8만 명이 구조·수색에 투입됐습니다. 이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있습니다.

누출된 가스가 폭발하거나 누전으로 감전될 위험이 적지 않습니다.

건물이 서 있던 곳이라고 믿기 어려운 시리아 피해 현장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으로 국제사회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 튀르키예는 시리아보다는 사정이 조금 나은 편입니다.

12년간 내전을 겪어온 시리아는 정부 통제지역이든, 반군 지역이든 모두 경제난과 내전의 상처로 인도주의적 위기가 심각한 곳이었습니다.

구조 작업이 진행 중인 시리아 지진피해 현장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특히 시리아 반군이 통제하는 북서부 지역은 유일한 생필품 유입 통로였던 국경 통제소가 이번 지진으로 기능을 잃은 상황입니다.

이 지역 주민 상당수는 고향을 떠나온 강제이주민들입니다.

천만다행으로 지진에서 살아남은 이들은 이제 배고픔과 추위를 누구의 도움 없이 이겨낼 처지가 됐습니다.

id@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