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콜린스 사전 선정 올해의 단어는 ‘영구적 위기’

방제일 2022. 11. 2. 15: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코로나19 재확산과 인플레이션, 이상 기후에 따른 재난 등으로 세계 각국은 어느 때보다 다사다난한 한 해를 보내고 있다.

이런 상황을 반영해 영국 콜린스 사전이 'permacrisis(영구적 위기)'라는 합성어를 올해의 단어로 선정했다.

'콜린스 러닝'의 알렉스 비크로프트 국장은 "이 '영구적 위기'라는 단어는 많은 이들에게 올해가 얼마나 끔찍한 해였는지를 한눈에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포츠 세탁’ ‘파티게이트’ ‘키이우’ 등도 올해의 단어 후보에 포함
2021년에는 ‘NFT’, 2020년에는 ‘록다운’을 올해의 단어로 선정
영국 콜린스 사전이 'permacrisis'(영구적 위기)라는 합성어를 올해의 단어로 선정했다.사진=콜린스 사전 웹사이트 캡쳐

[아시아경제 방제일 기자] 우크라이나 전쟁, 코로나19 재확산과 인플레이션, 이상 기후에 따른 재난 등으로 세계 각국은 어느 때보다 다사다난한 한 해를 보내고 있다.

이런 상황을 반영해 영국 콜린스 사전이 'permacrisis(영구적 위기)'라는 합성어를 올해의 단어로 선정했다. 콜린스 사전이 선정하는 올해의 단어는 약 180억개의 단어가 등재된 콜린스 말뭉치 데이터베이스와 온라인에서 통용되는 말 등을 총괄해 뽑는다.

1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은 'permanent(영구적인)'와 'crisis(위기)'의 합성어인 이 단어가 '키이우' '스포츠 세탁' '파티게이트' 등을 제치고 올해의 단어로 선정됐다고 보도했다. 콜린스 사전은 이 단어를 '불안정과 불안이 지속되는 상황'이라고 정의했다

AFP는 이 단어가 꼽힌 것은 영국이 유럽연합(EU)에서 탈퇴한 브렉시트에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심각한 기후변화, 우크라이나 전쟁, 정치적 격변과 고물가 등으로 처한 혼란상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콜린스 러닝'의 알렉스 비크로프트 국장은 "이 '영구적 위기'라는 단어는 많은 이들에게 올해가 얼마나 끔찍한 해였는지를 한눈에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1970년대 학술 용어로 처음 등장한 이 단어는 최근 몇 달 새 갑자기 유행하게 됐다고 콜린스는 설명했다.

콜린스 사전의 언어 자문인 헬렌 뉴스테드는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올해는 위기라는 말이 사람들의 대화를 지배했음이 분명하다"며 "영구적 위기는 하나의 위기가 다른 위기로 바로 전환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말했다.

총 10개 선정된 올해의 단어에서 영구적 위기와 경쟁한 단어는 '키이우(Kyiv)'다. 키이우는 우크라이나의 수도 이름으로 이제 전 세계인에 친숙한 단어지만, 전쟁 전까지는 러시아식 발음인 키예프로 불렸다.

스포츠 세탁은 부도덕한 정권이 중요한 스포츠 행사를 치르거나 유명 스포츠팀을 인수해 자국의 부정적 이미지를 희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방 언론은 언론인 카슈끄지 암살 배후 의혹을 받는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의 스포츠 문화 진흥 정책에 대해 이 단어를 자주 사용했다.

올해의 단어 목록에는 '파티게이트(Partygate)'도 포함됐다. 보리스 존슨 전 영국 총리와 그의 동료들이 방역지침을 무시하고 다우닝가 10번지 총리 관저에서 존슨의 생일 파티를 열었다 정치 스캔들로 비화한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존슨 전 총리는 결국 사임했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뒤를 이은 찰스 3세 영국 국왕의 시대를 의미하는 '캐롤리언(Carolean)'도 올해의 단어에 포함됐다.

에너지 위기로 난방비에 쪼들리는 영국인들이 교회나 도서관 등을 찾아 추위를 피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웜 뱅크(warm bank)'라는 단어도 생겼고, MZ세대 직장인이 고용주에 대한 항의 표시나 자신의 '워라밸'을 위해 맡은 일만 하는 세태를 일컫는 '조용한 사직'이라는 신조어도 등장했다.

비크로프트 국장은 "우리 사전에 새로 등재된 신조어들은 현재 세계가 처한 상황을 반영한다"며 "그렇지만 우크라이나인들의 굳은 결의를 보여주는 키이우와 영국이 새 시대를 맞이했음을 뜻하는 캐럴린 등은 나름대로 희망의 빛을 선사한다"고 말했다.

콜린스 사전은 2021년에는 'NFT(대체 불능 토큰)'를, 2020년에는 코로나19 방역 조치로 일상이 정지되는 '록다운'을 그해의 단어로 선정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