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스펜서 등 글로벌 의류브랜드, 미얀마 생산 중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외국 기업들의 미얀마 철수가 이어지는 가운데 글로벌 의류업체 4곳이 미얀마 하청 생산 중단을 발표했다.
21일 현지 매체 미얀마 나우에 따르면 네덜란드 C&A, 아일랜드 프라이마크, 영국 테스코와 막스&스펜서 등 4개 업체가 노동자에 대한 인권 침해 등을 이유로 미얀마 공장에서 더는 제품을 공급받지 않겠다고 밝혔다.
미얀마 의류 공장 노동자들은 긴 노동시간과 부족한 임금 등 열악한 환경 개선을 요구해왔다.
미얀마 생산을 놓고 세계 의류 업체들의 대응은 엇갈리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동자 인권 침해 지적하며 하청 중지…H&M 등은 생산 지속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외국 기업들의 미얀마 철수가 이어지는 가운데 글로벌 의류업체 4곳이 미얀마 하청 생산 중단을 발표했다.
21일 현지 매체 미얀마 나우에 따르면 네덜란드 C&A, 아일랜드 프라이마크, 영국 테스코와 막스&스펜서 등 4개 업체가 노동자에 대한 인권 침해 등을 이유로 미얀마 공장에서 더는 제품을 공급받지 않겠다고 밝혔다.
막스&스펜서는 지난 11일 내년 3월까지 현지 생산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업체는 성명을 통해 "미얀마에서 글로벌 하청 기준을 충족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우리는 공급망의 어떤 부분에서도 인권 침해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미얀마 산업근로자연맹(IWFM)은 군사정권 체제에서는 생산업체들이 국제 노동 기준에 따라 작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며 서방 업체들의 결정이 미얀마 노동 현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지난해 2월 쿠데타 이후 군정은 16개 노동 단체의 활동을 금지했으며, 노동조합 지도자와 조합원들이 선동 혐의로 기소됐다.
미얀마 의류 공장 노동자들은 긴 노동시간과 부족한 임금 등 열악한 환경 개선을 요구해왔다.
미얀마 생산을 놓고 세계 의류 업체들의 대응은 엇갈리고 있다.
현재 H&M, 아디다스, 자라 등 최소 80개 브랜드가 미얀마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세계적인 제조·유통 일괄형(SPA) 패션 브랜드인 H&M은 현지 노동자들의 일자리 보존을 위해 미얀마 생산을 계속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일본 허니스 홀딩은 미얀마 의류 공장의 제조 원가가 낮다는 이유로 현지 투자를 늘리겠다고 말했다.
미얀마 경제에서 의류 산업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 미얀마 상무부에 따르면 2019~2020 회계연도 의류 수출은 48억달러(6조9천억원) 규모였다.
코로나19 사태와 군부 쿠데타 이후 의류 수출은 2020~2021 회계연도에 36억달러(5조1천800억원) 수준으로 감소했다.
doubl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배우 김새론 숨진 채 발견…"자택 방문한 친구가 신고"(종합2보) | 연합뉴스
- '아저씨' 아역으로 눈도장…16년간 스크린·안방 누빈 김새론 | 연합뉴스
- 배우 배용준, 연세의료원에 30억원 기부 | 연합뉴스
- 홍천 공작산서 60대 등산객 쓰러져 숨져 | 연합뉴스
- 故송대관 생전 모습 담긴 '전국노래자랑'…"한 세상 소풍 왔다" | 연합뉴스
- 형 사망 사실 숨겨 예금 9억 찾고는 "생전 증여" 발뺌한 동생 | 연합뉴스
- 인천 길상산서 10m 아래로 추락한 60대 사망…"실족사 추정" | 연합뉴스
- 부천 노래방서 50대 여성 살해하고 시신 유기한 30대 구속 | 연합뉴스
- 신생아 살해 뒤 시신 유기…40대 친모 구속 | 연합뉴스
- 머스크 13번째 자녀?…"머스크 아이 낳았다" 주장 여성 등장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