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슨모터스, 인수대금 2743억원 미납.. 쌍용차 인수 무산 위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에디슨모터스가 쌍용차 인수대금 잔금을 기한 내에 납입하지 못하면서 매각이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상거래 채권단에 이어 쌍용차 노조까지 에디슨모터스의 쌍용차 인수를 반대하고 나서면서 조만간 인수·합병(M&A) 계약이 해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인수대금 미납으로 쌍용차는 에디슨모터스와 체결한 M&A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권한이 생겼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에디슨모터스가 쌍용차 인수대금 잔금을 기한 내에 납입하지 못하면서 매각이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상거래 채권단에 이어 쌍용차 노조까지 에디슨모터스의 쌍용차 인수를 반대하고 나서면서 조만간 인수·합병(M&A) 계약이 해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은 인수대금 잔금 납입 기한인 이달 25일까지 잔금 2743억원을 지급하지 못했다. 앞서 서울회생법원은 에디슨모터스에 관계인 집회 개최일 5영업일 전까지 인수대금 전액을 납입하도록 했다. 관계인 집회 예정일이 4월 1일이기 때문에 에디슨모터스는 이달 25일까지 계약금 350억원을 제외한 잔금을 내야 했었다. 관계인 집회는 채권자 등이 인수대금을 재원으로 한 채무 변제 계획 등이 담긴 회생계획안을 결의하는 집회다. 인수대금이 납입되지 않는다면 회생계획안이 의미가 없기 때문에 관계인 집회도 열리지 않는다.
에디슨모터스는 애초 FI(재무적 투자자) 유치를 통해 인수자금을 마련할 예정이었다. 컨소시엄에서 사모펀드 키스톤PE가 빠져나갔고, 사모펀드 KCGI는 쌍용차 지분율 확보나 자금 대여 등 투자 방식을 확정하지 못했다. 쌍용차 인수 자금 확보의 핵심이었던 에디슨모터스 관계사 에디슨EV(136510)는 4년 연속 영업손실이 발생해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위기에 처했다.
인수대금 미납으로 쌍용차는 에디슨모터스와 체결한 M&A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권한이 생겼다. 계약이 해지되면 에디슨모터스는 계약금도 돌려받지 못할 수 있다.
쌍용차가 계약을 해지하지 않고 관계인 집회를 연기할 경우 인수 절차는 계속될 수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계약 해지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에디슨모터스는 잔금 납입 기한 전부터 관계인 집회 일정 연기를 강력히 요청했지만, 쌍용차는 이에 부정적이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노조와 상거래 채권단이 에디슨모터스의 자금력을 이유로 인수를 반대하고 있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쌍용차는 이달 말까지 계약 해지 여부를 결정한 뒤 법원으로부터 관련 허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에디슨모터스의 인수가 무산되면 쌍용차는 다시 매각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쌍용차는 작년 4월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하고 같은 해 10월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을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당시 카디널 원 모터스(HAAH오토모티브 새 법인) 컨소시엄과 인디 EV도 쌍용차 입찰에 참여했지만, 인수대금과 자금 조달 능력 등 조건이 가장 좋았던 에디슨모터스가 우협으로 결정됐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軍 쿠데타 상속인에도 배상 책임 물어야”… 최태원·노소영 이혼 소송 영향은
- “현지 생산도 고려”… 中 공략하는 운동화 ‘신흥 강자’ 온
- 경기 시흥 편의점에서 中 국적 남성 흉기 난동… 자택서 시신 발견
- 감기인 줄 알았는데 붉은 발진이…성홍열 주의보
- [가봤어요] “다채로운 맛 선사하겠다”… 한화 3세 김동선의 아이스크림 브랜드 ‘벤슨’ 1호점
- 광교신도시 대장 아파트의 눈물…이달 4년 전보다 낮은 가격에 팔렸다
- [K패션뷰티 뉴리더]⑨ 한국의 ‘진짜’ 20대가 입는 옷, 세계인 열광… K패션 강자 마뗑킴 성공비
- 美 바이든의 전립선암…치료법 다양하나 시기 놓치기 쉬워
- [인터뷰] ‘형제의 나라’ 튀르키예…K농기계로 ‘블루오션’ 공략하는 아랄그룹
- HBM·D램 가격 줄줄이 인상… 하반기 SK하이닉스는 ‘고점’, 삼성전자는 ‘반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