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의 뒤안길]이성계가 금강산에 봉납한 사리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을 개국하기 직전인 1391년, 이성계는 자신의 야망을 담은 사리기를 불교 성지인 금강산의 비로봉 돌함에 봉안한다.
사리기 발원에는 이성계를 비롯한 두 번째 부인 강비, 승려 월암, 황희석·홍영통·박자청 등 그의 측근들이 동참했다.
이성계가 발원한 사리기의 봉안방식은 고려 후기에 유행한 매향의식과 닮아 있다.
결국 그는 고려 태조가 금강산 절고개(拜岾)에서 담무갈보살을 친견했다는 상징적인 공간에 사리기를 봉안하고, 1년 뒤 그가 소망한 대로 새 나라를 건국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통 사리기는 부처나 고승들의 탑에 봉안하지만, 이 사리기는 형식과 법식에서 전혀 달랐다. 이성계가 발원한 사리기의 봉안방식은 고려 후기에 유행한 매향의식과 닮아 있다. 매향의식은 침향을 바닷가에 묻어 미래의 구원자인 미륵불의 이상향에서 살기를 바라는 신앙행위다.
이성계는 고려 말 혼탁한 세상과 도탄에 빠진 백성을 구하고자 불교의 불사리 장엄의식과 민간의 매향의식이 지닌 형식과 내용을 빌려왔다. 금강산에 머물며 1만2,000명의 권속을 데리고 산다는 담무갈보살을 좇아, 금강산에서 자신의 야망을 담은 사리기를 봉납했다. 역사책에도 없는 이성계의 진솔한 이야기는 이 사리기에 명문으로 아로새겨져 있다. 결국 그는 고려 태조가 금강산 절고개(拜岾)에서 담무갈보살을 친견했다는 상징적인 공간에 사리기를 봉안하고, 1년 뒤 그가 소망한 대로 새 나라를 건국했다.
이 사리기는 봉안한 1391년으로부터 626년이 지난 1932년, 금강산 방화선 공사 도중 우연히 발견됐다. 이후 85년 만인 2017년 1월에 보물 제1925호로 지정됐다. 백자·금·은·동·유리로 구성된 사리기의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유물인데다 명문을 통해 역사를 추론할 수 있어 더 큰 의미를 지닌다. 이 사리기를 시대의 물결 위에 띄워서 보면 이성계는 자기 자신을 미륵이 세상에 나올 때 등장한다는 무결점의 군주나 미래의 구원자로 생각했음이 분명하다. /손영문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전문위원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 공항 '섹시'로 점령한 클라라, 국보급 S라인이네..
- 김나정, 섹시산타 변신 '맥심'표지 화제 '82년생 김지영'논란 끄떡없어
- 송가인 뉴욕 떴다, 상큼 발랄 섹시美 뿜뿜 "아무도 못 알아봐?"
- '우리가 황교안이다' 동조 단식 돌입한 정미경·신보라 의원
- "난 근무중, 넌 흡연중?".. '근무 중 담배타임' 설전 [부스의 참견]
- 모빌리티 시동 거는 현대차..12인승 '승합택시' 달린다
- 성북 구축 10억 근접..용인 수지 신축도 호가 10억
- 검찰, '22명 사상' 안인득 사형 구형.."철저한 계산하에 방화살인 범행"
- 강북 '한남3구역' 막힌 날..강남 마천루 'GBC'는 뚫렸다
- 장관시켜줬으니 선거 총알받이?.."장기판 졸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