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핵 폐기 대가로 690조원 요구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 핵 문제가 세계 안보를 위협하는 중요 사안으로 부각된 가운데 북한이 핵을 폐기하게 하려면 어떤 조건을 제시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눈길을 끄는 것은 지난 5월 북한과 중국이 비밀협상을 벌였다는 보도가 나왔다는 점이다.
이 보도에 따르면 북한이 핵 폐기를 조건으로 요구한 돈은 6000억달러, 지금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약 690조원이다.
이 보도는 당시 북한과 중국이 핵 폐기를 놓고 비밀협상을 진행했을 가능성을 시사해 주목을 받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 핵 문제가 세계 안보를 위협하는 중요 사안으로 부각된 가운데 북한이 핵을 폐기하게 하려면 어떤 조건을 제시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눈길을 끄는 것은 지난 5월 북한과 중국이 비밀협상을 벌였다는 보도가 나왔다는 점이다. 이 보도에 따르면 북한이 핵 폐기를 조건으로 요구한 돈은 6000억달러, 지금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약 690조원이다.
이 내용을 보도한 매체는 홍콩의 유력 월간지 쟁명(爭鳴) 5월호였다. 쟁명은 북·중 양국이 지난해 8월부터 핵 폐기를 위한 비밀 협상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중국·미국·일본·러시아·한국이 10년 동안 매년 600억 달러의 무상원조를 제공할 것을 요구했다. 유엔의 대북제재 결의 철회와 북·미 평화협정 체결도 조건으로 내걸었다. 이 조건들이 충족되면 3년 안에 핵무기를 폐기하고 중장거리 미사일 개발을 중단하겠다는 것이었다.
북한이 북한과 중국, 북한과 러시아 최고지도자가 각각 협약에 서명하는 방법을 원했다는 구체적인 내용도 있었다. 단지 핵을 폐기하는 과정과 방식에 이견이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이 보도는 당시 북한과 중국이 핵 폐기를 놓고 비밀협상을 진행했을 가능성을 시사해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중국 외교가에서는 중국이 공동으로 6000억달러의 원조를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할 가능성이 없다며 이 보도를 일축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덥수룩한 수염, 변기보다 더럽다며 피했는데…전문가들의 반전 답변 - 아시아경제
- 중국 쇼핑몰서 난데없는 '전두환 티셔츠'…서경덕 "아픈 역사를" 개탄 - 아시아경제
- "그냥 가입 안 할게요" 1시간 설문에 녹취까지…잡음 끊임없는 금소법[금융혁신:성장을 설계하다
- "사실은 출국 18~29일 전이 제일 싸요"…초고수들만 아는 항공권 구매 '꿀팁'[주머니톡] - 아시아경
- 병원 가려던 주민도 '화들짝' 놀랐다…갑자기 관광객 늘어난 곳 - 아시아경제
- '尹 변호' 김계리, 국힘 입당 제동에 "가족되신 것 환영한다더니" - 아시아경제
- "어느새 스르르 잠들어…중독적이다" 폭락하던 식당 매출, '이것' 하나로 대반전 - 아시아경제
- 밥 안 먹는 5살 아이 머리 식판에 짓누른 보육교사…법원 "선고유예" - 아시아경제
- "숨막혀서 못 살겠다"…머스크 데이터센터에 뿔난 주민들 결국 - 아시아경제
- "당이 잘못했다" 이준석에 사과한 김문수[대선판 흔든 이 한마디]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