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국감] 노동부 산하기관 인턴 중도탈락 많아
[아시아경제 이현정 기자]공공기관은 매년 정원의 3% 이상 청년실업자를 고용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규정돼 있지만 노동부 산하기관부터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재윤 의원이 16일 국정감사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근로복지공단은 신규채용 24명 중 단 2명(0.1%)만 청년 채용했으며 산업안전보건공단은 지난해 단 한 명도 청년을 채용하지 않았다. 이들 두 기관의 2007년 청년채용비율도 각각 0.7%와 0.8%로 2년 연속 1%를 넘지 못했다.
청년고용촉진특별법 제5조는 공공기관이 매년 정원의 3% 이상은 청년 실업자를 고용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이들 기관의 고용된 인턴들이 중도에 탈락하는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김 의원에 따르면 정부가 올해 1조3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연인원 5만4000여 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청년인턴제를 실시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240명, 근로복지공단은 331명,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은 46명, 한국산재의료원은 87명의 인턴을 채용했다.
그러나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중도포기율은 33%에 달해서 10명 중 3명 이상이 중도에 그만뒀으며 근로복지공단은 23%, 한국산재의료원은 20%,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19%에 달했다.
김 의원은 "인턴제가 단기적인 임시직 일자리고 주로 복사나 타이핑, 전화 응대 등 허드렛일을 맡음에 따라 청년들의 경력형성에 도움이 되지 않아서 중도 탈락이 많을 수 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김 의원은 "청년실업대책을 책임져야 할 노동부의 산하기관이 오히려 청년고용 축소에 앞장서고 있다"며 "인턴 근무를 통해 검증된 자원은 정규직으로 채용해서 우수한 청년들이 안정된 일자리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현정 기자 hjlee303@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맛있는 걸 한국인만 먹었어?"…美 진출해 '오픈런 대박'난 롯데리아 - 아시아경제
- "남자의 돈은 필요 없지만, 돈 있는 남자는 필요해"…고소득 여성들의 속내 - 아시아경제
- "낳은 적 없는 아들 둘이 호적에"…전 남편이 숨긴 충격적 사실 - 아시아경제
- "청소하러 갔는데 애까지 보라고?"…서울시, 가사노동자 가이드라인 만든다 - 아시아경제
- "누구길래 두달째 안 나타나지?"…900억원 당첨자에 호주 '들썩' - 아시아경제
- "주식 대폭락 신호, 당장 버리고 비트코인 사라"…'부자아빠' 또 주장 - 아시아경제
- SNS에 돈다발 올리며 "나 영앤리치야"…美 우체국 직원 알고보니 - 아시아경제
- "또 중국에서 전염 시작" 전세계 비상 걸렸다…치료제도 없다는 '이 전염병' - 아시아경제
- 김건희 구치소 첫 아침은 식빵·소시지·샐러드…한 끼 단가 1733원 - 아시아경제
- "한국인 매일 먹는 건데?"…암·혈압·당뇨 다 잡는다는 '이것'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