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국감] 재래시장 상품권, 성과 부풀리기 심각
[아시아경제 김대섭 기자] 최근 한달도 안돼 60억원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고 있는 재래시장 상품권이 정작 현장에선 사용하기 어려워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15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김태환 의원은 중소기업청 국정감사에서 "남대문 시장 등 대표적 시장에서도 상품권을 받지 않는 곳이 많았다"며 "특히 점포 가맹률이 낮은 시장의 경우 상품권을 내밀어도 받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와 상인간의 갈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재래시장 상품권 가맹시장 등록이 부진하면서도 규정을 변경해 사업 성과를 부풀린 것에 대해서도 질타했다.
중기청은 당초 소비자의 편의성과 상품권의 신뢰성을 위해 시장상인의 80% 이상 동의를 얻은 곳만 가맹시장으로 승인했다. 하지만 올해 8월24일 관련규정을 바꿔 시장상인의 동의 없이도 상인회의 신청만 있으면 받아 주도록 규정을 변경했다.
김 의원은 "가맹시장으로 등록한 625개 시장 중 60%인 390개 시장이 시장상인동의 규정을 채우지 못했음에도 가입됐다"며 "실제 상품권이 제대로 유통되지 않고 있지만 외형적인 실적 부풀기에만 급급한 모습"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기청이 김 의원한테 제출한 '전통시장 상품권 가맹점 현황'에 따르면 현재 가맹점으로 등록돼 있는 649개의 시장 중 시장 내 점포로부터 80% 이상의 동의를 얻은 곳은 239곳으로 40%가 되지 않는다.
점포 가맹률이 50% 이하인 시장도 절반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점포의 가입유무 조차 파악하지 않고 등록된 가맹시장도 30.2%나 됐다.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풀린 '온누리 상품권' 아직 지갑속에..
- 코레일, 추석격려금 시장상품권으로 지급
- 현대제철, 추석 맞아 재래시장 살리기 나서
- 추석 앞둔 중기청 바빠진 이유는?
- 현대百 "추석 예약판매 전년비 75% 증가"
- 유부남 CEO 이어 女임원도… '콘서트장 불륜' 비극적 결말 - 아시아경제
- "한국으로 망명"…김정은 이복형 '김정남' 피살 세 달 전 권유받아 - 아시아경제
- "개 밥이냐, 사람 밥이냐"…대치동 강사 해석에 '문해력 논란' 퍼지자 국어원까지 등판 - 아시아
- "이건 내 OO지원금, 쟁여놨지" 히죽…소비쿠폰에 불티나는 건 따로 있네 - 아시아경제
- 이 생리대 쓰고 수십명 암 걸렸다...'차 성분' 넣었다며 192억 벌어간 中제품의 배신 - 아시아경제